'수학여행입찰제' 지역업체 한숨
'수학여행입찰제' 지역업체 한숨
  • 김금란 기자
  • 승인 2011.04.26 21: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는 7월부터 조달계약품목으로 변경 실시
전국 대형업체 저가 공략 … 질저하 우려도

중·고등학교의 수학여행이 오는 7월부터 조달계약품목으로 변경되면서 최저가 경쟁입찰로 실시되는 것에 대해 충북도내 일선학교에서는 회의적인 반응이다.

수학여행입찰제는 학부모들의 비용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최저가 경쟁입찰로 비용을 낮추고 학교장과 업체간 유착을 막겠다는 취지로 실시되는 것이다.

충북도내 일선 학교와 여행업계에서는 저가 입찰로 인한 품질 저하와 지역업체가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충북도교육청에 따르면 수학여행의 경우 전자입찰은 1000만원 초과~5000만원 이하로 나라장터를 통해서 입찰을 진행하며 낙찰 하한율이 90%로 적용된다.

수학여행 경비는 지금까지는 2000만원 이하일 경우 일선학교에서 수의계약으로 업체를 선정했으나, 오는 7월부터는 1000만원 이하로 조정된다. 업체 선정과정에서는 관광버스를 포함, 업체의 지역제한 여부를 학교재량에 맡긴다.

지금까지 수학여행 기준은 학교에서 직접 전세버스에 대해서만 수의계약 또는 입찰을 실시하고 숙박과 음식점은 학교장 책임하에 현지에서 직접 공급해 오면서 숙박업소와 음식점 선정에 따른 일부 업체와 학교 간의 유착관계로 사회적 물의를 야기하기도 했다.

새로 변경된 수학여행 기준은 여행코스부터 관광버스, 음식·숙박까지 가격위주로 원스톱 계약이 가능하다.

최저가 경쟁입찰의 경우 경쟁 입찰은 수학여행 프로그램의 질 저하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업체의 경우 입찰 당시의 계약사항만 이행하면 되는 소위 '한철 장사'로 업체 측이 많은 이윤을 남기기 위해 교육은 뒷전으로 홀대받을 수 있다는 것이 학교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여행업체 측에서는 지역제한을 두지 않을 경우 전국 대형업체의 저가 공략으로 지역업체가 참여해도 낙찰될 수 없는 데다 특정업체를 밀어주는 꼴이 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업체 선정 과정에서의 투명성 확보도 미지수다. 현재 일반입찰과 전자입찰 모두 업체 조건의 하나인 지역제한 여부를 학교장의 재량에 맡기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도내 한 고교 A 교장(60)은 "최저가입찰이 최선의 대안인지를 교육적 차원에서 검토해야 한다"며 "서울의 대형업체가 선정될 경우 많은 문제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