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 충청권 입지 불안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 불안
  • 천영준 기자
  • 승인 2011.04.25 21: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거점지역 후보지 영남지역 21곳 최다
위원회 선정방법·일부 평가항목도 불리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의 거점지구 후보지로 확정된 부지가 영남권이 가장 많아 충청권 입지에 걸림돌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높다.

정부는 이들 부지 중에서 거점지구를 선정할 방침인데 과학벨트위원회가 확정한 입지선정 방법과 일부 평가항목이 충청권에 유리하지 않기 때문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5일 과학벨트 입지선정을 위해 비수도권 지자체의 대상 부지를 조사한 결과 모두 39개 시·군(광역시 포함)에 53곳의 부지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53곳을 전국 권역별로 나눠보면 영남권이 21곳으로 가장 많았다. 호남권 15곳, 충청권 13곳, 강원 3곳, 제주 1곳 등의 순이다.

특히 위치로만 보면 당초 과학벨트가 입지할 예정이던 충청권(세종시)보다 현 정부의 '모태'인 영남권에 다수 포진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 결과 대부분 지자체는 한 곳 정도의 부지를 보유했다.

하지만 광주·부산·대구·대전 등 11개 지자체는 개발 가능한 부지를 2개 이상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 보면 광주 3곳, 대구 2곳, 대전 2곳, 부산 3곳, 울산 2곳, 강원 3곳(원주2), 경남 5곳이다. 경북은 9곳(포항3·경산2·구미2), 전남 7곳, 전북 5곳, 제주 1곳이다. 충남은 6곳(아산2)이며, 충북 5곳(진천2)이다.

이번 조사는 지난 13일부터 22일까지 비수도권 지자체(시·군 단위)를 대상으로 최소 면적 165만㎡(50만평) 이상에 토지 개발사업지구 등 신속한 개발이 가능한 토지를 조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문제는 영남권에 거점지구 후보지가 가장 많다는 점이다. 충청권 조성에 걸림돌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정부가 부지가 많은 장점을 들어 영남권에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을 통합 배치할 가능성이 있다. 이럴 경우 나머지 지역에 50여개 분원을 두는 분산 배치가 현실화되는 것이다.

지반 안정성에 우려가 제기되는 영남권이 평가에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지반 안정성' 항목을 적합여부만 판단키로 한 것이 이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또 거점지구의 평가 방법 등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아 불안감을 더하고 있다. 과학벨트 입지의 최적지인 충청권이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평가받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과학벨트 거점지구 후보지로 영남권이 가장 많은 것은 달갑지 않다"면서 "하지만 정부가 제대로 된 평가를 한다면 최적의 입지인 충청권으로 과학벨트가 선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앞으로 과학벨트위원회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를 실시해 5월말 최종 입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입지 선정 절차는 과학벨트위가 기본원칙을 결정하면 과학벨트기획단에서 입지여건을 조사·분석한다. 입지평가위원회가 분석결과를 평가해 후보지를 압축한 후 과학벨트위가 최종 결정하게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