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앞둔 공직사회 '술렁'
지방선거 앞둔 공직사회 '술렁'
  • 충청타임즈
  • 승인 2010.02.01 21: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원경찰 특채 논란·인사 불만 고개
사조직 결성·줄서기 등 일탈 재연도

민선 5기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자체 일부 공무원들의 줄서기 행태와 사조직 결성 등 일탈현상이 재연되고 있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공무원 특별채용을 둘러싼 논란과 인사불만도 쏟아지는 등 술렁이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

최근 청주시청 안팎에서는 차기 시장 후보군이 가시화되자 특정고교 동문들이 현시장 지지그룹과 중립 또는 또 다른 후보 지지그룹으로 양분됐다는 설이 파다하다.

이같은 흐름은 사무관급 이상 승진·전보 인사를 전후해 불거져 공직내부에서는 기정사실처럼 간주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공무원들이 특정후보에 줄을 대려한다는 설도 심심찮게 거론되고 있다.

중·하위직층에서는 남상우 시장 취임 후 이뤄진 별정직 특별채용과 청원경찰 전환 사실이 알려지면서 간간이 제기됐던 인사 형평성 논란과 맞물려 불만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공무원 A씨는 "남 시장 취임 직후 B씨를 7급 상당 별정직으로 채용한 후 지난해 1월 청원경찰로 전환했고, 선거에 기여했던 인사 가족인 20대 중반의 C씨를 별정 7급 상당으로 채용(2008년 11월)했다"며 "비서직으로 채용한 직원을 정년(59세)이 보장되는 보직에 배치한 것은 수용하기 어려운 특혜이고, 대학을 갓 졸업한 인물을 7급 상당으로 채용한 것 역시 사기저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A씨는 "남 시장이 누누이 강조했던 공정한 인사 방침과 달리 '제식구 챙기기'를 한 사실이 알려져 실망감이 크다"며 분위기를 전했다.

시 관계자는 이에 대해 "비서직 채용은 어느 자치단체나 마찬가지이고, 단체장 재임중에만 근무할 수 있다"고 밝히고 "청원경찰 전환 직원은 정년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됐지만, 올부터는 행안부가 금지 조치를 취해 앞으로는 공개채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옥천군 역시 지난해 7월 선거에 관여했던 인사들의 가족을 청원경찰로 채용해 적지않은 논란이 불거졌다. 시민단체들이 제기했던 감사원 감사청구는 기각됐지만, 선거 국면에서 다시 논란이 될 것이라는 예상은 어렵지않다.

제천시에서는 최근 전·현직 고위공무원, 시의원 등이 참여한 사조직 결성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사조직 참여자들이 외지에서 단합대회 형식의 모임을 가진 것을 계기로 불거진 논란은 공직내부의 위화감을 야기했다.

당사자들은 정치적 색깔을 띤 모임이 아니라고 해명했지만, 공무원 노조가 조직 해체를 요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 파문이 만만치 않았다.

괴산군에서는 지난달 6일 부패추방시민단체 활빈단 회원들이 기자실을 방문해 군수 가족의 사전선거운동 의혹과 인사 문제를 거론하자 군청 직원들이 저지해 몸싸움 끝에 무산된 일도 발생했다.

군수 선거에 참여했던 인사에게 내준 축사 허가에 문제가 있다는 내용을 발표하려던 지역 환경단체의 기자회견에 앞서 활빈단 회원들이 군정의 문제점을 제기하자 "통보했던 내용과 달리 정치적 문제를 언급하냐"는 게 군청 직원들의 입장이었지만, 기자회견 자체를 저지한 것은 지나친 '군수 편들기'였다는 비판이 만만치 않았다.

이같은 분위기는 2일 광역단체장·도교육감을 시작으로 19일부터는 기초단체장, 지방의원 예비후보 등록 절차가 시작됨에 따라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