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정비' 본격화 … 충주 다시뜬다
'4대강 정비' 본격화 … 충주 다시뜬다
  • 남경훈 기자
  • 승인 2008.12.16 22: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기 등 7개곳 포함 … '대운하' 수혜지역
올초 땅값 상승지역 중심 사업 방식 주목

정부가 한강 등 4대강 유역에 대한 정비사업과 주변 개발을 본격 추진키로 함에 따라 그동안 '한반도 대운하 수혜지역'으로 꼽히던 충주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충주는 올해 초 이명박 대통령 취임 당시 한반도 대운하 추진에 대한 기대감으로 땅값이 2∼3배 이상 급등했지만 정부의 대운하 포기 선언으로 다시 하락하거나 상승세가 멈췄었다.

정부는 지난 15일 올해안에 경북 안동시를 시작으로 부산, 충주시에 이어 대구, 충남 연기군, 전남 나주시 함평군 등 모두 7개 지역에서 4대강(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살리기 사업에 착수하기로 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당시 충주 선거유세에서 대운하 공약을 설명하면서 대운하의 중심축이 될 충주에 여객 및 화물터미널 2곳이 들어서고 엄정면과 산척면 교차 지점에 대단위 물류유통기지를 세우겠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로 인해 충주지역은 낙동강 수계와 남한강 수계를 연결하는 대운하가 건설될 경우 남한강 수계의 상류에 위치해 그동안 낙후되었던 지역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됐었다.

이같은 기대는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산이 3.3㎡당 15만원에서 30만∼40만원, 밭은 7만원에서 15만원 이상으로 호가가 뛰기도 했다.

그러나 대운하 계획이 전면 취소되고 국민의 동의없이 추진하지 않겠다고 발표되면서 기대감은 실망감으로 뒤바뀌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4대강 살리기 사업에 전격 착수하자 연초 부동산 가격이 뛰었던 지역을 중심으로 향후 사업이 어떤 방식으로 추진될지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대해 남한강 유역에 위치한 충주시 살미면 일대 공인중개사들은 "올해 초 반짝 거래가 된 후 사거나 판다는 전화 자체가 아예 끊긴 상황"이라며 "그러나 당시 시세보다 비싸게 매입한 사람들에게 연락해 보면 안 판다는 말을 하고 있어 한반도 대운하에 대한 기대감은 여전하다"고 말했다.

한편 대운하를 반대했던 충주환경련반대 등 시민사회단체들도 이번 4대강 살리기 사업이 어디까지 영향을 미칠지 촉각을 곤두세우는 등 긴장감을 늦추지 않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