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는 곧 기회와 희망
위기는 곧 기회와 희망
  • 충청타임즈
  • 승인 2008.02.29 23: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고
김 창 석 <충주보훈지청장>

대한민국 국보 1호 숭례문.

600여년 동안 한결같이 서울을 지켜온 자랑스러운 우리 문화유산이다.

지난 2월10일 어처구니없는 숭례문 화재사건을 접하고 전 국민은 애통해 하고 있다.

이는 오늘을 살아가는데 있어 거울이 되며 용기와 힘의 원천이 되는 소중한 역사의 한 부분을 잃게 되어버린 때문이리라.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역사의 교훈을 소중히 여긴 민족은 위기와 도전을 기회와 희망으로 슬기롭게 전환시켜 민족 웅비의 계기로 삼아 왔다.

이에 우리는 제89주년 3·1절을 맞이하여 오늘날의 소중한 대한민국을 이룩하고 지켜내도록 한 역사의 유산인 3·1운동 정신을 다시 한 번 되새겨야 할 것이다.

89년 전 3월1일, 파고다공원에서의 독립선언을 시작으로 전국 방방곡곡을 태극기의 물결과 만세의 함성으로 뒤흔들었던 3·1독립 만세운동은 지난 1919년 말까지 국내에서 뿐만 아니라 만주, 러시아, 연해주, 시베리아, 미국 본토와 하와이는 물론 일본에서까지 한민족이 있는 곳이면 어디에서나 전개되었으며 남녀노소, 신분과 계급, 지역과 종교를 초월하여 조국의 자주독립이라는 하나의 목표를 위해 일치단결하여 어떠한 억압과 역경 속에서도 꺾이지 않는 한민족의 독립에 대한 열기를 세계만방에 알렸다.

이같이 독립운동의 방향과 한민족의 자긍심을 일깨워 준 3·1운동은 일제하 최대의 거족적 항일독립투쟁이자 민족적 대 통합운동이었으며, 자유평등과 세계평화를 주창한 인도주의 운동이었다.

또한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의 기폭제가 되어 국내·외의 항일독립운동을 한 곳으로 응집시킨 결과 8·15 광복의 감격을 이루는데 지주 역할을 하였다.

세계사 속에서도 보기 드문 한민족의 3·1만세시위는 각계의 지도자와 민중이 혼연일체가 되어 민족의 얼을 과시한 운동이었으며, 오늘날 대한민국이 세계속에 당당하게 우뚝 설 수 있는 것은 수많은 애국선열들의 독립정신이 우리의 가슴 깊이 면면히 이어져 오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 민족에게 있어 1919년 3월의 독립정신은 대영제국의 마르나카르타와 미국의 독립선언, 프랑스대혁명의 자유·박애정신과 어깨를 나란히 견줄 수 있는 영원히 잊지 못할 역사라 할 것이다.

"우리민족은 맨주먹으로 분기하여 붉은 피로써 독립을 구하여 세계혁명사에 하나의 신기원을 이루었다"고 상해임시정부 제 2대 대통령을 역임하신 박은식 선생께서도 극찬했던 3·1운동의 독립정신은 시대가 흐르며 새로운 생명력을 더해 오늘날 호국·보훈정신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제 17대 대통령의 취임과 더불어 새 시대, 새로운 정부가 도래한 뜻깊은 3월을 맞이하여 '역사를 모르는 민족은 미래도 없다'는 말씀을 가슴깊이 새기고 3·1운동의 숭고한 독립정신을 본받아 나를 버리고 국가와 민족을 먼저 생각했던 선열들의 고귀하신 애국애족의 정신으로 현실을 새롭게 바라보는 기회를 갖기를 바라며, 지금껏 면면히 이어져 내려온 우리의 자랑스러운 민족정기를 후손들에게 흠없이 완전하게 물려주도록 하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