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전참묘 1
남전참묘 1
  • 무각 스님 괴산 청운사 주지
  • 승인 2024.05.23 18: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낮은자의 목소리
무각 스님 괴산 청운사 주지
무각 스님 괴산 청운사 주지

나뭇가지 잡음은 족히 기이한 일이 아니니
벼랑에서 손을 놓아야 비로소 장부로다.
물은 차고 밤도 싸늘하여 고기 찾기 어려우니
빈 배에 가득 싣고 돌아오도다.

반갑습니다. 괴산 청운사 여여선원 무각입니다. 밝고 향기로운 광명으로 함께 행복하시길 기원드립니다.

이 시간에 탁마할 공안은 단도직입형 공안인 ``무문관' 제14칙 남전참묘(南泉斬猫 )1.입니다.

먼저 `무문관'제14칙 남전참묘 공안의 전개는 이렇습니다.

남전 화상께서 어느 날 동당과 서당간에 고양이 새끼 한 마리로 시비가 벌어지자 고양이를 치켜들고 말하였습니다. “대중들이여, 도득하면(對句)가 맞으면, 즉 고양이를 든 이유를 말하면 살리고 도부득하면(對句)가 맞지 않으면, 이 고양이 목을 베리라.” 라고 하셨습니다.

대중 가운데 한 사람도 대꾸가 없자 남전 선사는 고양이를 베어버렸습니다. 밤늦게 조주 선사가 외출 했다가 돌아오자 남전 선사는 낮에 있었던 일을 말하니, 이에 조주 선사는 아무 말 없이 짚신을 벗어 머리 위에 이고 나갔습니다. 이때에 남전 선사는 말씀하시기를 “그때 조주가 있었더라면 고양이 새끼를 구했을 것을….”이라고 하셨습니다.

선가의 법도는 때로는 차갑고 냉정하기까지도 하지요. 그래야 그 바르고 양명한 법을 이어갈 수 있으니까요. 이에 대해 무문선사는 게송하기를, “자, 일러보라! 조주가 짚신을 머리에 얹은 뜻이 무엇인가? 만약 이것에 대해 한 마디 이를 줄 알면 곧 남전의 행동이 헛되지 않은 것을 알게 될 것이나, 그렇지 못하다면 위험하게 될 것이라!”라고 하였습니다.

굳이 사족을 달자면, 만약 조주선사가 그 자리에 있었다면 령을 거꾸로 시행했을 것이니 오히려 칼자루를 뺏어 쥐어 남전이 조주에게 목숨을 구걸했을 것이란 말이지요.

그럼 여기서 마치고 다음 시간에는 `무문관' 제14칙 남전참묘(南泉斬猫) 2.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여기 무각스님과 함께하는 `무문관' 공안으로 보는 종횡무진 자유로은 선(禪)과 함께하는 모든 분들이 부디 행복하시고 여일하시길 두 손 모아 기원드립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