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계절근로자 끊긴 충북농가 `막막'
외국인 계절근로자 끊긴 충북농가 `막막'
  • 석재동 기자
  • 승인 2021.01.28 2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도내 7개 군 수요 인원 조사 1069명 집계
코로나19에 2년째 입국 못해 … 일손 수급 비상
道, 생산적 일손 지원반·인력중계센터 등 운영
첨부용. 충북 보은 외국인 계절 근로자 모내기 모습.(사진=보은군 제공) /뉴시스
첨부용. 충북 보은 외국인 계절 근로자 모내기 모습.(사진=보은군 제공) /뉴시스

 

괴산에서 고추 등 원예작물을 재배하고 있는 전모씨는 작년에 수확이 끝난 작물 줄기 등을 미처 치우지 못해 비닐하우스나 밭에 그대로 놔뒀다.

재작년까지만 해도 남성 외국인 계절근로자 3명을 고용했지만 지난해는 한 명도 고용하지 못해 작업이 늦어졌기 때문이다.

전씨는 “지난해 농번기와 추수철 외국인 근로자를 받지 못해 가족들이 총동원돼 농사일을 거들었다”며 “올해도 코로나 사태가 해결되지 않아 인력 조달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영농 인력난이 악화하는 가운데 올해도 외국인 계절근로자 도입이 쉽지 않을 전망이어서 농촌의 인력난이 심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코로나19로 국내 이동이 제한된데다 외국인 근로자 입국이 전면 중단되면서 구인난을 겪고 있어서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충북 시·군 농가의 외국인 계절근로자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농가에 필요한 근로자 1000여 명이 2년째 입국하지 못해 구인난이 심화하고 있다.

지난해 도내 시·군 9곳이 신청한 외국인 계절근로자는 1037명이다. 괴산이 257명으로 가장 많았다.

단양 176명, 진천 131명, 음성 125명, 보은 118명, 제천 100명, 영동 88명, 옥천 40명, 증평 2명이 뒤를 이었다.

계절근로자들은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현지에서 발이 묶이면서 단 한 명도 입국하지 못했다.

올해 시군 계절근로자 수요 인원을 조사한 결과 제천과 증평을 제외한 7개 군에서 1069명을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법무부는 올해도 코로나19로 인해 계절근로자 입국이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법무부 체류관리과 관계자는 “코로나19 상황이 작년과 비교해 변화한 게 없어 올해 계절근로자 입국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농촌의 인력난이 심화되자 충북도는 외국인근로자 입국 일정이 미뤄질 것에 대비해 충주, 제천, 보은, 옥천, 영동, 단양지역에 인력중계센터를 운영한다.

구인난을 해소하기 위해 생산적 일손 긴급지원반을 농가에 지원하고, 농작업 대행 서비스도 시행한다. 도내 대학과 연계해 대학생 농촌 봉사활동 참여를 독려한다.

도 관계자는 “통상 최저시급을 받는 외국인 계절근로자보다 국내 인력은 인건비가 비싸 농가 경비부담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며 “영농철 농가 구인난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세워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석재동기자
tjrthf0@cctimes.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