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장출두 불가피… 충남대 어디까지
총장출두 불가피… 충남대 어디까지
  • 김인호 기자
  • 승인 2007.05.25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책연구비 외 다른 비리까지 확산 조짐
총장의 사의표명까지 부른 충남대 사태가 검찰로 옮겨지면서 수사의 칼날이 어디까지 닿을지에 지역의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이 대학 학무위 측이 자체조사를 벌여 지난 22일 정책연구비 집행에 대한 결과발표가 있었지만, 구체적인 자료 공개를 하지 않은데다 정책연구비가 사법처리 대상이 될 수 있을 지, 또 다른 비리의혹의 여부, 관련 연구자들의 명예손상 등 여러 문제점들이 얽혀 수사 향방에 더욱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사태는 표면적으로 정책연구비 배분문제로 불거졌지만, 검찰의 수사가 정책연구비 이외 다른 문제로도 확산될 조짐이다.

대전지검 관계자는 "정책연구비 수사는 끝나더라도 사법처리 대상이 될지는 미지수"라면서 "또 다른 비리 의혹이 일고 있어 그 부분에 대해서도 면밀히 수사할 계획"이라고 밝힌 것으로 지난 22일 전해졌다.

사법처리 여부를 단정할 수 없다는 부분은 정책연구과제란 특성상 연구자와 연구과제 사이의 연관성이나 연구 결과물의 부실 등을 법률적으로 명확히 규명하기는 어렵다는 점에서다.

지난 18일 총장 자택과 대학본부를 압수수색한 검찰은 당시 확보한 자료를 검토하면서 연구비집행 관련 교직원들을 줄소환하기 시작했다.

지금까지 참고인 신분으로 출두한 직원은 10여명 선으로 알려졌으며, 검찰은 이들 관련부서 직원을 상대로 정책연구비 집행과정에서의 비리혐의를 입증할 만한 일반적인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하지만, 정책연구비 관련부서의 보직교수나 정책연구비를 받은 교수들은 아직 소환되지 않고 있다.

검찰의 기초자료 수집과 압수물에 대한 정밀분석이 마무리되면 이들 가운데 일부도 소환될 예정이다. 또 수순상 조사가 마무리되기 위해선 어떤 형태로든 총장의 검찰 출두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검찰은 이미 양현수 총장에 대해 지난 21일 출국금지를 취해 놓은 상태다. 수사에 상당한 자신감을 갖고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소환 대상자는 양 총장의 측근을 비롯해 연구정책 과제를 여러 차례 수행했던 교수와 보직교수 등 10여명이 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 경우 충남대는 명예손상 등 적잖은 논란에 휩싸일 것으로 보인다.

검찰 관계자는 "보직교수 중에는 압수물 확인 차원에서 1명을 부른 적이 있지만 조사 차원은 아니었다"며 "현재는 교수가 아닌 직원 등을 상대로 일반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있는 단계로 일부 보직 교수들이나 연구비를 받은 일부 교수들이 언제 소환될지는 확인해주기 어렵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