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 설
사 설
  • 충청타임즈
  • 승인 2007.02.02 10: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쓰레기 매립장 문제 공론화하라
시의 현안에 대해 시는 어디까지 책임져야 하는가. 시민들의 책임은 어디까지며, 알권리는 어떤 방식으로 충족돼야 하는가. 그리고 까다로운 현안들을 해결하는 과정은 어떠해야 하는가. 수년 동안 쓰레기 매립장 문제로 주변지역 주민들과 갈등을 빚고 있는 충주시의 쓰레기 행정이 불러일으키고 있는 질문들이다. 충주시 쓰레기 매립장 문제는 이미 오랜 현안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풀기 어려운 숙제로 남아 있다.

쓰레기 매립장 문제가 다시 충주시정의 중심 현안으로 떠올랐다. 지난달 24일 매립장 주변 하천에서 침출수로 보이는 물을 매립장 주변지역 주민들이 발견하면서부터다. 30일에는 쓰레기매립장 주변 주민들 200여명이 충주시청 앞에 모여 이 문제를 부각시키며 매립장 대책을 세워달라고 요구했다. 충주시가 쓰레기 매립장 문제를 풀지 못하면 쓰레기 소각장을 세우는 데 '쓰레기 소각장 건립 반대' 목소리가 높아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보인다.

소각장 건립 문제라면 이미 공론화 단계를 지나 사업일정과 윤곽이 잡힌 사안이며, 이를 다시 공론화하고 시민들의 여론을 듣는다는 것은 불필요한 갈등만 불러 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난 중부내륙철도 충주노선을 결정하는 과정이 그러했듯, 중대한 현안일수록 시는 우선 쓰레기 매립장 문제부터 차근차근 풀고 나서 '쓰레기 소각장 건립'으로 가야 한다.

시는 지난해 '쓰레기 대란'을 대화로 풀지 못하고 경찰력을 동원하는 등 물리적인 방법으로 풀어나가려 했다. 하지만, 문제는 가려졌을 뿐 해결된게 아니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매립장 문제를 공론화하고 쓰레기처리문화를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대책을 시민들과 함께 세워나가는 방식이어야 했다. 쓰레기 매립장의 파행 운영에 대해서는 당시 한창희 시장이 시정의 책임자로 공식적으로 시인했다. 쓰레기 소각장 건립마저도 어려움에 부딪히게 된 까닭이다. 이제부터라도 시는 쓰레기 매립장 문제를 공론화해 시민들의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 소각장 건립을 반대하는 지역주민들의 목소리를 시민들이 객관적으로 판단해 볼 수 있는 자리와 시간적 여유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