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EP<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혁신도시 이전 제동
KISTEP<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혁신도시 이전 제동
  • 뉴시스
  • 승인 2015.09.30 20: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감서 통합 과학기술정책원 신설 재검토 목청

논란 장기화땐 1만3천㎡ 규모 청사 신축 불투명

충북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의 이전이 예측 불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5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과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소관 중 연구·개발(R&D) 기능을 통합해 (가칭)‘한국과학기술정책원’을 설립하는 내용의 과학기술기본법 개정에 나섰다.

미래부는 9월 25일 국가과학기술 컨트롤타워 강화를 목적으로 분리·설치하는 ‘과학기술전략본부’를 출범시키고 이를 지원하는 기관으로 한국과학기술정책원 신설을 추진하고 있지만 최근 국정감사에서 여야 의원들에게 발목이 잡혔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는 국감에서 미래부의 과학기술정책원 설립 추진을 재검토하라고 입을 모았다.

여야 의원들은 대다수 전문가가 통합에 의미가 없고 기관 통합 후 발생하는 비효율성도 많다는 점을 지적했다.

지금으로써는 과학기술정책원 설립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렇다보니 애초 충북혁신도시에 이전하기로 했던 KISTEP도 이전 여부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KISTEP 관계자는 “과학기술정책원 설립이 결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어떠한 것도 정해진 바가 없어 충북혁신도시 이전 여부를 예측할 수 없다”고 말했다.

KISTEP은 애초 충북혁신도시에 건물을 임차해 이전하려 했으나 마땅한 건물이 없어 청사 신축으로 가닥을 잡았으나 미래부가 KISTEP, STEPI, KISTI 등 3개 기관을 통합해 한국과학기술정책원을 신설하기로 해 청사 신축 계획이 보류됐다.

KISTEP은 300억원을 들여 충북혁신도시관리본부 인근 1만3000㎡의 터에 청사를 신축하는 계획안을 마련하고 이 가운데 충북도 소유의 5500㎡를 장기 임대한다는 구상을 세웠다.

KISTEP은 다른 기관과의 통합이 무산하더라도 논란이 장기화하면 충북혁신도시 이전 시기는 예정보다 늦어질 수 있고 통합을 하더라도 신설 기관이 충북혁신도시로 이전한다는 보장이 없어 자칫 충북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이 11곳에서 10곳으로 줄어들 수도 있다.

충북혁신도시에는 애초 12개 공공기관이 이전하기로 했으나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진천군)이 전자거래진흥원과 통합해 정보통신산업진흥원으로 충북혁신도시에, 한국인터넷진흥원(진천군)은 정보보호진흥원·정보통신국제협력진흥원과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으로 통합해 나주혁신도시로 이전하면서 11곳으로 줄었다.



/뉴시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