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사회개혁 적임자”
“정치·사회개혁 적임자”
  • 뉴시스
  • 승인 2015.05.21 20: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임 국무총리에 황교안 지명

박근혜 대통령이 장고 끝에 21일 황교안 법무부 장관을 새 총리 후보로 내정한 것은 집권 3년차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정칟사회개혁의 적임자라는 판단과 국정철학에 대한 높은 이해, 인사청문회 통과 가능성 등이 두루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이완구 전 국무총리가 이른바 ‘성완종 리스트’ 파문으로 낙마한 이후 도덕성과 정칟사회개혁 추진력을 제1기준으로 삼고 인선작업을 진행해 왔다.

박 대통령은 성완종 리스트 파문이 불거지자 우리 정치에서 ‘과거부터 현재까지’ 문제가 있는 부분은 완전히 도려내겠다는 의미의 정치개혁 카드를 들고 나왔다.

◇ 인선배경 이례적으로 ‘정치사회개혁의 적임자’ 강조

이런 맥락에서 박 대통령은 아무런 이해관계 없이 정칟사회개혁 작업에 매진할 수 있는 인물로 대구고검장, 부산고검장 등 검찰내 주요 보직을 거친 황 후보자의 사정수사 능력을 높이 산 것으로 보인다.

김성우 청와대 홍보수석이 이날 황 후보자의 총리 지명 사실을 전하며서 인선 발표에서는 이례적으로 “지금 우리 현실은 경제재도약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 과거부터 지속돼 온 부정과 비리, 부패를 척결하고 정치개혁을 이루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언급한 것도 정칟사회개혁의 적임자임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전 총리의 낙마로 주춤했던 ‘부패와의 전쟁’의 바통을 이어받아 사회전반의 비리와 부정을 뿌리뽑을 사령탑으로 황 후보자를 낙점했다는 의미다. 박 대통령이 황 후보자를 선택한 것은 국회 청문회 통과라는 현실적 요건도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 ‘국정 안정성’ 강화 위한 포석인 듯

‘황교안 총리’ 카드는 국정에 안정성을 기하기 위한 의도로도 분석된다. 박근혜정부 출범때부터 법무장관을 지내며 박 대통령의 국정철학에 대한 이해가 깊고 이를 잘 뒷받침해 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사정당국의 수장으로서 통합진보당 해산을 이끌어낸 것이 대표적이다.

새 총리 후보와 관련해 박 대통령이 장고를 거듭하면서 수첩 밖의 새로운 인사가 발탁되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제기됐지만 박 대통령은 예상치 못한 돌발변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깜짝인사보다는 오랜 기간 손발을 맞춘 황 후보자를 안전한 선택지로 골랐다. 이런 가운데 그의 발탁을 두고 박 대통령의 법조인 선호 현상이 재차 입증됐다는 평가도 나온다.

그러나 공안 검사 출신이자 사정 정국의 정점에 있는 황 내정자의 지명을 두고 야당이 ‘공안 총리’라며 날을 세우고 있어 청문회에서의 험로가 예상된다..

/뉴시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