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견인 신한승 선생 뜻 기린다
택견인 신한승 선생 뜻 기린다
  • 윤원진 기자
  • 승인 2014.09.02 18: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가중요무형문화재 지정 공로
충주 택견전수관에 동상 건립

택견의 전승ㆍ보급 및 정립에 한평생을 보낸 충주출신 택견인 송암 신한승 선생의 동상이 택견전수관에 세워졌다(사진).

송암 신한승 선생은 초대 택견예능보유자로서 1973년 10월 충주에 최초로 택견전수도장을 세우고 후진 양성에 앞장섰다.

그는 택견을 무형문화재로 지정해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열성적으로 노력한 결과 1983년 6월 비로소 택견이 국가중요무형문화재(제76호)로 지정되는데 큰 기여를 했다는 평가다.

이번 동상은 선생의 택견에 대한 열정과 업적을 기리고자 택견의 본고장인 충주에 건립하게 됐다. 총사업비 1억 3000만원을 들여 건립한 신한승 선생 동상은 충주시 택견전수관 앞마당 기단위에 동상높이 3.4m(기단부 포함), 무게 350㎏ 규모로 청동으로 제작됐다.

동상은 ‘활개 치돌리며 품밟기’라는 동작을 표현했다. 이 동작은 택견에서 공격과 방어를 하기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자세이다. 하부 기단부에는 신한승 선생의 일대기를 기록했고, 기단부 뒤편에는 선생의 연보를 새겼다.

충주시 관계자는 “송암 신한승 선생의 업적을 기리고 충주시가 택견의 메카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동상을 제작했다”면서 “앞으로 충주를 찾는 관광객과 택견인들에게 기념비적인 동상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