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투자 '썰렁' 공영개발 전환도 '글쎄'
민간투자 '썰렁' 공영개발 전환도 '글쎄'
  • 엄경철 기자
  • 승인 2013.03.20 21: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벼랑 끝' 몰린 KTX오송역세권 개발
오는 29일 2차 마감 불구 희망업체 전무

충북도, 청주시·청원군에 공영개발 타진

수천억 재원확보 부담… 무산 가능성 높아

KTX오송역세권 개발사업 2차 투자자 공모마감일이 10여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뚜렷한 진척이 없어 투자유치 무산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대안으로 충북도가 검토하고 있는 청주시, 청원군이 참여하는 공영개발도 막대한 재원조달 방안이 마땅치 않아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청주시와 청원군에 공동 투자를 제의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결과는 장담하기 어렵다.

◇ 투자유치 불투명

충북도는 KTX오송역 일대 50만1000여㎡의 역세권개발사업 참여 민간사업자를 찾기위해 지난달 27일까지 1차 공모를 했으나 참여업체는 한 곳도 없었다. 이후 2차 공모에 들어갔으나 20일까지 투자자를 찾지 못하고 있다. 공모마감일인 29일까지 10여일 남았으나 유력한 투자희망업체가 없어 무산 가능성이 높다.

투자자 모시기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국내 부동산 경기의 장기 불황 탓이다.

여기에 용산역세권 개발사업의 디폴트(채무상환 불이행) 사태까지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오송 외에도 전국의 여러곳에서 역세권개발에 나선 것도 민자유치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역세권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경기도 광주시, 이천시, 여주군이 오송과 함께 민자유치 경쟁을 벌이면서 상황은 더 어려워졌다. 일단 도는 2차 공모마감일까지 투자 가능성이 있는 업체들을 대상으로 접촉할 예정이지만 여의치않은 것으로 보인다.

◇ 민자유치 실패 대안은

충북도는 오송역세권개발사업에는 3100억원의 사업비가 들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도는 그동안 삼성, 롯데, 한화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투자유치에 나섰지만 뜻을 이루지 못했다.

이에 민자유치 실패 대안으로 공영개발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하지만 재원조달 문제를 해결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충북개발공사가 나서 자체적으로 공영개발을 추진하기에는 투자규모가 너무 크다. 따라서 도는 청주시와 청원군의 참여를 타진하고 있는 상태다.

최근 충북도 관계자는 청주시장과 청원군수를 만나 오송역세권 공영개발 참여의사를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주시와 청원군의 공영개발 참여와 사업비의 일정규모(1000억)에 대해 투자를 권한 것으로 전해졌다. 도 관계자는 오송역세권개발사업의 청주시와 청원군 참여 타진과 관련한 질문에 “확인해줄 수 없다”며 답변을 회피했다.

◇ 공영개발 성사 가능성

충북도가 검토하고 있는 공영개발 성사 가능성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청주시와 청원군이 선뜻 공영개발에 참여해 사업비의 일부를 부담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특히 청주시는 재원도 여의치 않을 뿐 아니라 청주테크노폴리스 등 현안사업들이 널려 있다는 점에서 오송역세권 개발 참여가 피부에 와 닿지 않는 분위기다.

시 관계자는 “시도 해결해야 할 현안이 많은데 공영개발에 참여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 아니냐”며 충북도의 희망사항에 불과하다는 입장이다.

양 지자체가 공영개발에 참여하더라도 충북도와 충북개발공사가 수천억원의 재원을 확보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충북개발공사가 기채를 내는 방안이 있으나 개발공사 입장에서는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인천도시공사와 강원개발공사가 빚더미에 허덕이면서 존폐 기로에 서 있다는 점에서 막대한 부채를 안게 될 공영개발사업 결정이 그만큼 신중해질 수 밖에 없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