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일자리·보육 지원 '찬성' 정치참여는 '글쎄'
여성 일자리·보육 지원 '찬성' 정치참여는 '글쎄'
  • 연지민 기자
  • 승인 2012.04.08 21: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북도내 19대 총선 후보자 공개 질의서 답변 분석
성평등정책·후보자 사생활 영역 검열 필요 주장도

19대 총선 후보자들은 성인지정책에 있어 일자리와 보육, 교육 등에 대한 정책 수립의지는 높았으나 여성의 정치참여확대에 대해선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충북여성정치세력연대(대표 하숙자)과 충북여성연대(대표 신영희)는 지난 5일 기자회견을 갖고 '2012년 총선 각당후보자들 공개 질의서의 답변과 공약'을 발표했다.

충북도내 총선 후보 26명 중 15명이 응답한 이번 답변을 분석한 결과 "15명의 후보는 일자리와 보육, 교육, 차별문제, 여성에 대한 폭력, 기초노령연금, 여성농민의 지위확보 등에 대해 전원 찬성하는 등 높은 수용의지를 나타냈다"면서 "공공부문 여성비정규직 100% 정규직화, 성폭력가해자에 대한 체포우선제 도입, 성매매 알선업자 처벌강화 및 성매매 여성의 비범죄화 등의 의제에 대해선 90%이상이 찬성했다"고 밝혔다.

반면 "사회경제적 사유로 임신중절을 허용하는 모자보건법 개정과 비례대표 국회의원 중 전체 의석 50% 여성 확대에 대해선 후보 개인에 따라 쟁점이 분명하게 달리하며 반대의사가 많았다"고 발표했다.

성평등정책과 더불어 정치 후보자들의 사생활에 대한 영역 검열도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정선희 여성인권상담소장은 '권력과 성'에 관한 토론회에서 "여성의 정치암여배제는 여성을 비주류화하고 정책의사 결정에서 배제되었다"며 "여성이 정책수요임에도 여성정치참여 부진으로 성인지적 정책이 실천되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주장했다.

또 "후보자에 대한 사적·공적 영역에 대한 검열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후보자의 사생활을 사회적 담론으로 끄집어내어 후보자들의 성인지적 인식을 검증해야 한다"며 성평등 국회를 위한 여성유권자운동을 제안했다.

한편 충북여세연과 충북여성연대의 이번 질의분석은 2012여성투표행동 퍼플파티의 일환으로 여성에 관한 의제 20개를 선정해 19대 총선 후보자들의 성인지적 정책 수용여부를 질의하고 답변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