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향으로
본향으로
  • 박종선 충북문화재연구원 기획연구팀장
  • 승인 2023.03.19 17: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북문화유산의 이야기
박종선 충북문화재연구원 기획연구팀장
박종선 충북문화재연구원 기획연구팀장

 

국립중앙박물관 로비에는 우리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이 전시되어 있다.

바로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이다. 원랑선사탑비는 지난 1922년 일제에 의해 경복궁으로 옮겨져 현재까지 고향을 떠나 있는 상태이다.

일본은 1910년 경술국치(庚戌國恥) 이후 조선총독부의 시정 5년을 대대적으로 선전하기 위해 지금의 박람회격인 조선물산공진회를 경복궁에서 개최하게 된다.

이 공진회를 위해 새롭게 지은 미술관과 분관에서는 일반인들이 쉽게 볼 수 없었던 가치 있는 역사 자료와 문화유산이 전시되었다.

공진회가 끝나고 이 유물과 자료를 그대로 이어받아 1915년 12월에 지금의 국립중앙박물관의 토대가 된 조선총독부박물관이 개관하게 된다.

이후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일본의 침탈을 정당화하는 식민사관의 중심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총독부박물관은 전국의 주요 사찰이나 사지에서 탑이나 탑비를 옮겨와 야외에 전시하였는데 1926년도 자료를 보면 그 수가 11점에 달한다.

이 11점 안에는 충북의 문화재인 충주 정토사지 흥법국사탑(국보)와 앞서 말한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보물)가 포함되어 있다.

반출된 석조문화재 대다수는 남한강의 수로를 통해 서울로 반출되었기 때문에 충주와 원주지역이 가장 큰 피해를 입게 된다.

원랑선사탑비는 다른 문화유산과 다르게 옮겨지는 전 과정이 사진으로 남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으로 볼 수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에는 일제강점기에 옮겨 놓은 많은 문화유산이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아직도 자리하고 있다. 대부분 보물 아니면 국보급의 문화유산으로 각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이 문화유산을 원위치로 돌려놓으려는 움직임이 일부 보이고 있다.

고려시대 승탑의 백미로 꼽히는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 현묘탑(국보)은 1911년 본래 위치하였던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를 떠나 일본으로 반출되었다가 반환되어 국내로 왔지만 제자리로 돌아가지 못하고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에 전시되다가 최근에는 보존처리를 위해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원으로 옮겨졌다.

원 위치인 법천사지에는 현묘탑의 짝이라 할 수 있는 탑비만 남아져 있는데 1980년대 중반부터 원주시와 시민들의 현묘탑 환수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그 결과 2019년 6월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의를 통해 원위치인 법천사지로 이전이 결정되었다. 아직 제자리로 돌아오지 못했지만 오랫동안 고대하였던 문화재가 돌아온다는 사실만으로도 지역사회엔 큰 성과가 아닐 수 없다.

원랑선사탑비도 지광국사 현묘탑처럼 제자리로 돌아오는 건 어떨까?

지난 3월 12일 제천 의림지역사박물관 광장에서는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복제비 제막식이 진행되었다.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사실 수많은 문화재들이 본래의 위치를 벗어나 박물관 또는 개인, 단체 등에 소속되어 있다.

그 문화재들을 다 원래 위치로 돌려놓을 수는 없다. 옮겨진 그 과정 자체도 문화유산이 가지고 있는 역사이고 스토리이기 때문이다.

다만 돌아갈 곳이 명확하고 지역사회의 관심과 노력이 곁들여진다면 통일신라시대부터 1000년 세월을 자리했던 곳으로, 고향으로 돌아와도 되지 않을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