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코리아
스타트업 코리아
  • 이재경 기자
  • 승인 2023.01.02 17: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데스크의 주장
이재경 국장(천안주재)

 

청년들의 주머니 사정이 심상치 않다.

가뜩이나 구직난에 시달리는 마당에 치솟는 물가. 부모님 집에서 먹고 자는 것만 해결해도 행복한 인생이라는 자조섞인 말이 나온다.

청년 경제 지표 상황을 보면 심각하다. 꼬박꼬박 붓고 있던 적금을 해약하거나 실손보험까지 해지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청년희망적금 해지 건수가 크게 늘고 있다.

서민금융진흥원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청년희망적금 가입자 수는 256만7000명으로 나타났다. 청년들에게 연리 9%대를 보장해주는 이 상품은 지난해 3월 모집 당시 286만명이 몰렸다.

그러나 불과 6개월 사이 가입자의 10.5%에 이르는 30만1000명이 해지했다. 고금리·고물가 시대에 가처분 소득이 감소하면서 허리띠를 졸라맨 것으로 추정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3~4분기 39세 이하 가구의 월평균 가처분 소득은 365만원으로 1년 전에 비해 0.9% 늘어나는 데 그쳤다. 하지만 이 기간 중 물가 상승률은 5.1% 증가해 사실상 돈을 쓸 여력은 줄어든 것이다.

경제 활동을 하지 못하는 사회적 `고립청년' 문제도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 따르면 고립청년이란 타인과 관계망이 없거나 사회에서 고독감을 느끼고 있는 고립상태의 청년을 뜻한다.

이들은 대부분 구직을 단념한 청년들로 2020년 기준으로 37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조사 결과 2017년 고립청년 수는 30만명으로 최근 계속 증가 추세에 있다.

고립청년의 증가는 국가적 부담이 된다는 점에서 심각하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고립청년 1인당 사회적 비용은 평생 15억원에 달한다. 청년 1명이 납세자로 25세부터 65세까지 살 때와 사회보장급여를 받는 수급자로 살아갈 때의 사회적 비용 격차를 추산한 값이다. 2020년 기준으로 고립청년 37만명이 무직자로 살아갈 경우 이들에게 소모되는 국가 재정이 555조원에 달한다는 뜻이다. 심각성을 인식한 고용노동부 등 정부 기관, 자치단체는 고립청년의 사회 복귀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계묘년 새해 벽두에 반갑지 않은 소식이 들려온다. 국내 기업들이 고용을 대폭 축소하고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근무 중인 직원들도 내보내고 있다.

채용 관련 컨설팅 기업 인쿠르트와 사람인 등에 따르면 국내 기업 390곳 가운데 36.7%가 채용 규모를 축소하거나 중단할 것이라고 답했다. 고용을 확대한다고 응답한 기업은 17.9%에 그쳤다.

대기업 직장인 대상 설문에서도 40%가 현재 구조조정을 진행 중이거나 조만간 단행할 것이라고 답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1일 신년사를 통해 새로운 기술과 산업의 발굴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언급했다.

무역금융을 역대 최대인 360조원으로 확대해 IT와 바이오, 방위산업과 원자력, 탄소 중립과 엔터테인먼트분야까지 세계를 호령하는 `스타트업 코리아'의 시대를 열겠다는 다짐이다. 기업가 정신을 가진 미래세대의 도전이 꽃 피우도록 모든 지원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렇다면 기업들의 투자가 현재 진행형이어야 한다. 사내 유보금을 수조원, 수천억원씩 잔뜩 쌓아놓고 투자에 손을 떼려하는 기업들. 그래서는 안된다. 몇년 후가 아닌 몇십년 후를 내다보고 미래 먹거리 산업을 키우고 투자해야 한다. 그래야 청년들의 도전도 멈추지 않는다.

대통령 신년사에 담긴 뜻이 기업들에 제대로 전해졌으면 좋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