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노화연구원 오송 건립 권리 되찾기
국립노화연구원 오송 건립 권리 되찾기
  • 엄경철 기자
  • 승인 2022.12.15 17: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말논단
엄경철 선임기자
엄경철 선임기자

 

오송과 첨단의료복합단지를 나눠 가진 대구가 최근 뇌연구동을 준공했다. 대구가 첨복단지 유치 이후 뇌분야까지 영역을 확장시킨 결과물이다. 대구시는 2011년 한국뇌연구원을 유치한 후 자체예산을 들여 우뇌연구동을 완공했다. 더 나아가 3단계 프로젝트 그림 완성을 통해 뇌산업 메카를 꿈꾸고 있다.

충북도 유치에 나섰던 뇌연구원이기에 아쉬움이 있다. 산업의 선택과 집중이라는 점에서 국가보건의료시스템이 집적화된 보건의료도시 오송에 관련 국가연구기관 유치는 당연했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았다. 정치논리개입으로 경제성, 경쟁력, 효율성 따위는 의미가 없었다.

당시 국가연구기관 이전과 신설에 따른 입지 선정에 정치논리개입이 있었다. 특히 정치논리개입으로 충북이 뼈아파했던 것은 국립노화연구원의 오송 건립 무산이었다. 국립노화연구원은 정부가 보건의료타운이 있는 오송 건립을 확정시킨 프로젝트였다. 그러나 일부 지자체의 정치권을 통한 해당지역 유치 압박으로 건립 계획 자체가 없던 일이 됐다.

정부는 지난 2007년 오송생명과학단지에 국립노화연구원, 줄기세포재생연구센터, 중앙인체자원은행, 의과학지식센터, 고위험병원체 특수센터 등 연구시설 설립을 위해 부지 4만9588㎡(1만5000평)을 확보했다. 1990년부터 설립 논의가 진행됐던 국립노화연구원 부지도 포함됐다.

하지만 국립노화연구원은 2012년 오송 착공을 앞두고 백지화됐다. 당시 부산과 광주가 국립노화연구원 유치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됐다. 이로 인해 관련법은 국회에 장기 계류됐다.

오송에 들어서야할 핵심연구시설을 빼앗긴 셈이었다. 어쩌면 국립노화연구원의 오송 건립 무산은 당연한 결과였을 수도 있다. 당시 국립노화연구원 입지를 놓고 국회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인 현장에 충북 국회의원은 없었다. 충북의 중차대한 현안을 다루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지역국회의원이 아무도 지원하지 않았던 것이다. 무방비 상태에서 충북의 이익을 대변할 수 없었다. 백년먹거리 바이오메카 육성이라는 도민들의 염원을 지역정치권이 외면한 것이었다.

비단 국립노화연구원 뿐만 아니다. 1990년 무렵부터 추진해왔던 충북의 바이오산업은 만족할만지 뒤돌아 볼일이다. 국책기관, 국가프로젝트 유치후 정주여건조성, 운영 관리 등 후속조치에 소홀하지는 않았는지 말이다.

오송 바이오메카 실현은 보건의료 국책기관과 첨단의료복합단지 등의 유치로 탄력을 받는 듯했다. 그러나 오송첨복단지 유치 10년이 넘은 시점에서 목표한대로 가고 있지는 의문이다. 2030년까지 5조6000원이 투입되는 국가프로젝트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에 현재까지 수조원이 투입됐다. 전문가들은 그런 첨복단지에 대해 회의적이다. 투자대비 결과물이 변변치 않다는 것이다.

국립노화연구원만해도 그렇다. 마땅히 오송에 있어야 할 국가연구기관에 대한 지역의 권리를 주장하는 목소리조차 나오지 않고 있다. 올해 상반기 국립노화연구원 건립 논의가 잠깐 나온 모양인데 충북에서는 전혀 반응을 하지 않고 있다.

충북의 바이오산업 역사에서 배웠듯이 누구도 우릴 대변해주지 않는다. 스스로 권리를 찾고 지켜야 진정한 내 것이 된다. 백년먹거리인 바이오산업은 당대의 혜택보다 후대에게 물려줄 유산이다. 그래서 더 우리 지역의 권리를 챙겨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