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 하계 유니버시아드대회 실속있어야 한다
2027 하계 유니버시아드대회 실속있어야 한다
  • 엄경철 기자
  • 승인 2022.11.17 17: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말논단
엄경철 선임기자
엄경철 선임기자

 

2027년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공동유치로 충청권이 들떠있다. 4개 시도의 상생협력의 결실이라며 반기는 분위기다. 5년후에 치러질 메머드급 국제스포츠대회 성공 개최도 염원했다.

그런 가운데 이상기류가 감지된다. 일부 지역에서 공동유치에 협력하기는 했지만 실리를 따지는 모양이다. 충남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대회 공동유치 대가가 적다는 불만이 나온다. 대회 메인행사인 개막식이 다른 지역에서 치러지는 것에 대한 아쉬움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서 대회 준비과정에서 바뀔 수도 있음을 내비추고 있다.

충청권 4개 시도가 국제대학스포츠연맹(FISU)에 제출한 유치의향서에 담긴 분산 개최 내용은 이렇다. 개회식과 폐회식은 대전과 세종에서 열린다. 선수단 선수촌은 세종이 가져갔다. 경기장은 대전 4곳, 충남 12곳, 충북 11곳, 세종 3곳이다. 충북은 청주에 실내경기장 신축, 충남은 천안종운동장에 테니스장 증축한다.

대회에서 가장 큰 행사인 개회식이 개최는 상징성은 물론 도시마케팅도 극대화할 수 있다. 대회의 핵심 행사이기에 4개 시도가 욕심을 낼만 하다.

충북에서도 비슷한 분위기가 읽힌다. 김영환 충북지사는 대회 공동유치 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조직위원회를 꾸린 뒤 개·폐막식 개최 일정 등 전체적으로 다시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충북은 대회 유치를 처음 제안했다. 그런 점에서 대회 최대 하이라이트인 개막식을 뺀 경기 및 행사 배정이 불만족스러울 수 있다.

어떤 식이든 대회준비과정에서 4개 시도간 잡음이 일 수 있는 대목이다. 당장 조직위원회 구성과 조직위원장 인선에서 시도간 이견이 표출될 수 있다. 여기에 유치의향서에 담긴 내용을 다시 조정해야 한다면 주도권 경쟁은 심화될 수밖에 없다. 충청권 공조 과실을 더 가져가고자 하는 경쟁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과거에도 비슷한 사례가 있었다. 메머드급 국제스포츠대회와는 비교대상이 될 수 있을지는 모르나 충청권 공조라는 점은 같다.

2011년 충청권은 공조를 통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와 기능지구를 유치했다. 거점지구는 대전 대덕, 기능지구는 충북 오송, 충남 천안, 세종이 됐다.

당시 정부는 2017년까지 과학벨트 조성사업에 5조2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가속기 등 중요시설을 위한 사업비가 거점지구에 집중됐다. 3개 기능지구에는 지구별로 1000억원 가량이 배정됐다. 그마저도 대폭 축소돼 2018년 오송에 건립된 SB플라자는 국비 234억원이 지원됐다.

충북도는 과학벨트 유치를 위해 도청 개청이래 처음으로 도청 앞마당에서 `과학벨트입지 충북 오송 및 충청권 확정 기원문화제'라는 타이틀로 집회를 열었다. 집회에 이어 도청에서 밤샘농성까지 벌인 결과물은 230여억원의 시설물 하나가 고작이었다. 수조원이 투입된 대전 거점지구와 비교된다.

충청권 지자체는 대전의 거점지구에 들어설 50여개의 사이트랩(연구시설)의 기능지구 분산 건립을 기대했지만 성사되지 않았다. 충청권이 상생을 위한 공조로 일군 과학벨트라는 과실은 대전이 독식한 셈이다. 충청권 지자체는 그동안 상생협력관계라기보다는 경쟁관계였다.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져 공조를 하더라도 종국에는 지역이익을 추구할 수밖에 없는 관계다.

그래서 국제스포츠대회 유치를 처음 제안한 충북이 실속있는 상생협력방안을 짜내 관철시켜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