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된 애도, 반향실(反響實)과 무향실(無響室)
강제된 애도, 반향실(反響實)과 무향실(無響室)
  • 정규호 문화기획자·칼럼니스트
  • 승인 2022.11.08 17: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요단상
정규호 문화기획자·칼럼니스트
정규호 문화기획자·칼럼니스트

 

새벽에 충북도청을 지나다가 분향소를 보았다. 발 빠르고 일사불란한 대응에 기가 막힌다. 그러나 들어가지는 않았다. 닫힌 유리문 안으로 보이는 분향소에는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 분향소'라고 커다랗게 적혀 있었다. 눈앞에 있는 분향소에 들어가지 않았다고 애도의 마음이 없는 건 아니다. `사고'와 `사망자'라는 표현이 놀라울 뿐이고, 그런 파렴치에 슬픈 감정을 보탤 수는 없다.

`사고'의 발상은 대한민국 국무총리와 외신기자들의 간담회에서 뒤집히고 말았다. `한덕수 국무총리 이태원 사고 외신 브리핑'이라는 간판이 걸린 서울의 프레스센터에는 `Foreign Media Briefing with Prime Minister Han, Duck soo On Itaewon Incident'라는 친절한 영문이 나란히 씌여 있었다. 브리핑 후 외신은 대부분 `Incident(사고)'를 `Disa ster(참사)'로 표기했다.

`사고(Incident)'는 `뜻밖에 갑자기 일어난 좋지 않은 일', `참사(Disaster)'는 `비참하고 끔찍한 일'이라는 국어사전의 뜻과 `사건, 사고'와 `재난, 재앙'이라는 영어 단어의 뜻을 각각 가지고 있다.

`희생자'라는 표현을 마다하고 `사망자'를 사용한 저의는 누가 봐도 용렬하다. 책임의 소재를 흐리게 해 본질에 접근하는 것을 방해하거나 `현상'으로 호도해 차별하려는 속셈이 있다. `주최자'와 `정부'를 분리해 `책임의 경계'를 철저하게 멀리하겠다는 권력의 꼼수가 적나라하다. 개개인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물리적 위험성 또한 작용하지 않은 죽음을 `희생'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논리다. 배가 침몰하거나, 멀쩡한 건물이 무너지거나 화재 또는 자연재해도 아니라는 엘리트 지배적 관념은 전혀 흔들리지 않는다.

대한민국 헌법은 `국가는 재해를 예방하고 그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제34조 6항)는 조항이 뚜렷하다. 재난안전법 제4조 1항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재난이나 각종 사고로부터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을 보호할 책무를 지니고 있다'고 명시함으로써 정부는 국민의 안전에 대해 무한책임이 있음을 확실하게 적시하고 있다.

`참사', `희생자' 사용 금지와 `근조' 글자 없는 검정 리본 등 공문을 통해 일선 지방자치단체까지 수직으로 전파된 견고한 지침에 헌법 정신과 관련법에 대한 준수 의지는 고려되지 않고 있다. `분노' 대신 `침묵'이 강요된 국가애도기간은 지나갔다. 그렇다고 슬픔은 지워지지 않고 있으며, 공영방송 TV 프로그램 진행자들의 가슴에서 글자 없는 검은 리본은 아직 떨어지지 않았다. 이유는 모르겠다. 다만 국민은 아직 충격과 분노, 슬픔과 불안에서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

끝내 구분하지 못하고 정의하지 못한 상태에서 앞으로는 `사고'와 `사망자'라는 단어가 눈에 띄지 않을 것이다. `참사'와 `희생자'의 처지가 언제 자신에게 닥칠지 모를 `국민'은 이토록 철저하고 세심하게 단어를 선택하는 그들만의 객관화와 타자화를 통해 무엇을 깨닫게 될 것인가.

단어 하나를 사용해도 그 파생과 영향을 고려하는 투철한 자기 합리화와 권력 지키기, 또는 철저한 경계의 구분에 골몰하는 세력에 절대로 또다시 속지 말아야 한다.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선거'를 통해 선출된 권력이 선거에 대한 기여의 정도이거나, 패거리 집단에게 철저히 국한된 권력의 나눔이 국민의 눈을 얼마나 가리고, 거리를 두게 되는지 깨달아야 한다. 확증편향과 극도의 불신, 국민과 국민의 편 가르기와 이간질 등 모든 반공동체적 현상은 결국 생각 없는 투표에서 비롯된 것임을. 그리하여 결국 생떼같이 젊은 목숨이 사라지는 동안 국가의 어떤 권력도 지켜주지 못하는 비극이 생기고 말았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국가애도기간이 끝났다고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충격이 사라질 수는 없다. 비록 국가가 지켜주거나 책임을 회피하려 한다 해도 `나만 아니면 된다'는 각자도생을 당연시하면서 국가와 사회, 공동체를 믿지 못하는 세상이 된다는 것은 너무 억울하다.

`사고'와 `사망자'에 집착하는 궁핍한 언어는 소리가 잘 되돌아오지 않는 무향실(無響室. dead-sound chamber)에 갇히고, `참사'와 `희생자'가 세상을 더 큰 반향실(反響實, echo chamber)로 만들 수 있다. `꼬리'를 특정해 겨누는 책임의 한계로 그 방을 벗어날 수 있을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