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사회 관리해야 할 질환...골다공증성 골절
고령화사회 관리해야 할 질환...골다공증성 골절
  • 윤자영 대전선병원 척추센터 전문의
  • 승인 2022.05.05 18: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윤자영 대전선병원 척추센터 전문의
윤자영 대전선병원 척추센터 전문의

 

초고령화 사회를 향해 나아가며 골다공증 환자도 증가하고 있다. 
골다공증이란 무엇인가?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골다공증은 골량의 감소와 미세구조의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적인 골격계 질환으로, 뼈가 약해져 부러지기 쉬운 상태가 되는 질환으로 정의한다.
노인성 골다공증은 젊었을 때는 두텁고 빡빡하게 구성된 뼈가 나이가 들면서 외부는 점점 얇아지고, 내부는 성기고 듬성듬성한 조직으로 변해 골절이 되기 쉬운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골다공증이 갖는 잠재적인 위험은 생각하는 것보다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고혈압으로 생명에 위협을 받을 수 있다고 말할 수 있을까?
고혈압이 원인이 되어 생기는 합병증, 흔하게는 뇌출혈 등으로 대표되는 질환 등에 의해 생명에 위협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골다공증도 마찬가지로 볼 수 있다.
골다공증이 심하게 진행되는 경우 환자는 심각한 외상이나 사고가 아니더라도 미미한 충격, 가벼운 외상으로도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 고령에서는 기침이나 재채기, 아침에 침상에서 갑자기 일어난 충격 정도로도 흔하게 골다공증성 골절이 발생한다.
골절이 흔하게 발생하는 부분은 손목, 발목, 척추, 고관절 등이 있다.
특히 척추와 하지 골절의 경우 고령의 환자는 골절 치유기간 동안 오랜 기간 침상안정을 해야 하는데, 이로 인해 환자 개인적으로는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생기고, 의학적으로는 준와상생활로 인한 전신 쇠약, 흡인성 폐렴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골절이 발생해 거동이 불편해져 사망하기 전까지 사용하는 의료비가 일반 성인의 8배가 된다고 한다.
대한골대사학회의 통계적 자료에 의하면 고관절 골절 후 1년 내 사망률은 14.7%, 2년 내 사망률은 24%로 보고된 바 있다.
더 이상 골다공증을 단순히 노화로 인한, 퇴행성 질환만으로는 볼 수 없을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조기에 골다공증을 진단·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척추의 골다공증성 골절이 발생했을 때, 골절에 대한 치료만 시행하고 골다공증에 관한 적극적인 치료를 하지 않으면 다른 척추체의 골절이 이후에도 연쇄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다발성 척추 골절 자체도 고통스럽지만 후만 변형(허리가 굽는 변형) 등으로 생기는 2차적인 고통도 무시할 수 없으며, 심한 경우 수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척추의 골다공증 치료는 필수적이다.
따라서 정기적인 검사로 골다공증 유무를 조기에 확인하고, 적극적으로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골다공증 치료는 약물 치료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골형성 촉진제(뼈를 만들어 주는 작용), 골흡수 억제제(골다공증의 진행을 막아주는 작용) 등의 약물 등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골형성을 촉진하면서 동시에 골흡수를 억제하는 약물도 개발됐으며, 기존의 골형성 촉진제와 다른 약물과의 병합 치료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약물은 각각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약을 사용하는 순서, 병합 여부, 환자의 병력 등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각각 개인의 상황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때문에 골다공증 약물 각각의 특성을 파악하고 있는 전문의의 관리가 필수적이다.
척추 골절 혹은 사지의 골절이 동반된 경우 골절 자체를 치료할 수 있는 정형외과 혹은 척추외과 의사의 골다공증 관리가 중요하다.
폐경이 지난 여성이라면 골다공증에 대한 관심을 더욱 가지고, 적극적인 검사를 통해 조기에 본인의 골밀도 상태를 알아야 한다.
골다공증 전 단계인 골감소증인 경우에도 보조적인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전문의 상담을 권장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