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에 있어야 할 국립노화연구원
오송에 있어야 할 국립노화연구원
  • 엄경철 기자
  • 승인 2022.05.05 17:58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말논단
엄경철 선임기자
엄경철 선임기자

 

최근 국립노화연구원 설립 재추진 여부가 관심사다. 질병관리청이 국립보건연구원 산하에 국립노화연구소 설치 타당성을 재검토 중이라고 한다. 인구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현실 때문이다. 초고령사회 진입이 눈앞에 있는 시점에서 노화연구원은 진작에 설립 운영됐어야 했다.

국립노화연구원은 1990년 첫 설립 논의가 진행됐으나 이런저런 사정으로 설립이 지연되고 있다.

특히 오송 설립이 결정됐으나 사업 추진이 중단됐다. 정부는 지난 2007년 오송생명과학단지에 국립노화연구원, 줄기세포재생연구센터, 중앙인체자원은행, 의과학지식센터, 고위험병원체 특수센터 등 국가연구시설 설립을 위해 부지 4만9588㎡(1만5000평)을 확보했다.

대부분의 국가연구시설이 예정대로 오송에 설립됐지만 국립노화연구원은 예외였다. 일부 자치단체가 국립노화연구원 유치에 나서면서다.

오송 착공을 앞둔 2012년 무렵 부산과 광주가 국립노화연구원의 지역 유치에 적극 나섰다. 지자체 간 경쟁이 과열되면서 관련법이 국회에 장기 계류하게 됐다.

당시 부산과 광주는 항노화산업을 지역의 미래핵심산업으로 삼았다. 그에 필요한 국책기관이 국립노화연구원이었기에 유치에 필사적이었다.

오송에 국가보건의료기관을 집적화시키기 위한 정부의 계획이 차질을 빚기 시작했다. 국립노화연구원 뿐 아니라 줄기세포재생센터도 대구가 유치에 나서면서 국가의 보건의료기관의 오송 집적화 계획이 발목을 잡혔다.

국립노화연구원에 대한 부산과 광주 유치전은 치열했다. 해당 지자체 국회의원들이 자기 지역 유치를 위해 각종 법안을 만드는 등 정치권도 가세했다.

땅을 마련하고 첫 삽을 떠야할 시점에 정치논리 개입이라는 복병을 만나면서 국립노화연구원 오송 설립이 무산됐다.

오송의 국가보건의료시설과 기관을 집적화하는 계획은 오랜 시간동안 검토되고 추진해왔던 국가프로젝트였다. 그런 국가 계획을 하루아침에 뒤집은 것이다.

오송이 국가보건의료 메카로 발돋움하기 시작했던 당시에는 각 지자체들이 바이오생명산업에 눈을 뜨고 각종 연구시설과 국가기관, 기업 유치에 앞다퉈 뛰어들 때였다.

그런 국내 상황에 충북은 국가가 세운 계획이라는 것에 안주하면서 국립노화연구원이라는 핵심시설을 빼앗긴 꼴이 됐다.

우리 스스로도 반성해야 할 부분이다. 당시 국립노화연구원 입지를 놓고 국회의원들이 국회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인 현장에 충북의 지역국회의원은 없었다. 이 사안을 다룬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지역국회의원이 아무도 지원하지 않았던 것이다. 결국 충북도민들의 이익을 대변할 수 없었다.

국립노화연구원 오송 설립이 무산된지 10년이 넘은 현 시점에서 이 연구시설 설립이 재검토되고 있다.

오송이 세계적 바이오메카로 완성되기 위해서는 국립노화연구원은 필수적이다. 오송의 세계적 바이오메카를 위해서 뿐만 아니라 국가의 보건의료시설의 집적화를 통한 시너지효과 극대화 차원에서 국립노화연구원 입지가 결정돼야 한다. 그러한 최적의 입지조건을 갖춘 곳이 오송이다.

정부도 국가의 모든 보건의료기관을 오송보건의료타운에 담으려했던 것은 그런 이유 때문이다. 그래서 재검토되고 있는 국립노화연구원은 처음 국가가 계획했던 오송에 반드시 세워져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2022-05-08 06:17:32
오송 건립. 반드시 재추진 돼야한다. 가즈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