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곡된 백제사 바로 잡는다
왜곡된 백제사 바로 잡는다
  • 이은춘 기자
  • 승인 2022.01.17 18: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여군·백제학회 협력 `사비백제사' 새달 발간
전문가 40명 참여 … 사비도성·의자왕 등 총 3권
사비백제사 편찬위원회 모습.
사비백제사 편찬위원회 모습.

 

`삼천궁녀'는 백제 패망의 폐주인 의자왕에 따라붙는 수식어로 굳어져있다.

조선시대 김흔의 시에 처음 언급되는 삼천궁녀의 `삼천'은 `많다'라는 뜻으로 수사적 표현일 뿐 역사적 근거가 없다.

이처럼 왜곡돼 전해지고 있는 백제사의 오류를 바로잡는 책 `사비백제사'가 발간된다.

부여군이 2020년 1월부터 4억원을 들여 역점적으로 추진해온 `사비백제사 재정립' 사업의 일환이다.

사비백제사 집필의 공신력을 확보하기 위해 백제학회와 협업체계도 구축했다.

집필에는 편찬위원장인 성정용 충북대 교수를 비롯해 권오영 서울대 교수, 정재윤 공주대 교수, 김낙중 전북대 교수, 신희권 서울시립대 교수 등 편찬위원을 포함한 국내 백제사 전문가 40명이 참여했다.

사비백제사는 1권 `사비시대를 연 성왕과 사비도성', 2권 `불국토의 나라와 유려한 백제문화', 3권 `백제와 함께한 의자왕'으로 출간된다.

1권과 2권은 사비천도 배경과 성왕, 사비도성이 가진 의미, 백제문화의 우수성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사비백제사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3권은 의자왕과 백제가 간직하고 있는 왜곡된 이야기의 재평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대표적으로 조선시대 김흔의 시에서 처음 언급되는 `삼천궁녀'라는 표현에서 숫자 `삼천'은 `많다'는 뜻으로 역사적 근거가 없는 단지 수사적 표현에 불과하다. 조선시대에 편찬된 각종 지리지에는 낙화암 삼천궁녀 표현이 보이지 않으며 시적 수사로 표현된 허구임이 드러난 것으로 보고 있다.

당나라 소정방이 백제를 칠 때 백마를 미끼로 용을 낚아 백마강을 건넜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조룡대' 역시 승자와 패자의 관계 속에서 용의 죽음을 백제의 패배로 나타낸 것으로 문학적으로 재생산된 표현이다. 백제의 번창과 강력한 수호를 상징하는 용이 백제 패망의 증거물로 변이되고 전승된 것이라는 것이 사비백제사 연구에 따른 설명이다.

사비백제사는 올해 2월 출간할 예정이다.

박정현 군수는 “백제가 멸망한 뒤 1500년 만에 왜곡된 백제사를 우리의 시각으로 새로 썼다는 점에서 의미가 매우 크다”며 “백제에 대한 잘못된 시각을 바로잡고 그 인식을 새롭게 정립하기 위해 시도한 점에서 역사적 사건이라 할 만하다”고 말했다.



/부여 이은춘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