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물가 선제대응 필요하다
치솟는 물가 선제대응 필요하다
  • 이형모 기자
  • 승인 2021.08.05 19: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말논단
이형모 선임기자
이형모 선임기자

 

물가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서민 생활과 직결되는 장바구니 물가가 큰 폭으로 오르고 있다. 코로나 사태로 고통받는 서민들은 연일 계속되는 폭염과 치솟는 물가로 삶이 더욱 팍팍해지고 있다. 특히 민족 최대 명절인 추석을 앞두고 오르는 물가가 더욱 걱정이다.

통계청이 3일 내놓은 소비자물가 동향자료를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1년 전에 비해 2.6%가 올랐다. 4개월 연속 상승률이 2%를 웃돌았다. 올 들어 매달 상승률을 키운 소비자 물가는 5월 9년 1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을 보였다. 한국은행의 물가관리 목표 범위인 2%를 넘어섰다.

더 주목되는 것은 체감물가로 불리는 생활물가지수가 3.4% 올라 전달보다 상승률이 0.4% 커졌다. 3년 11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이다. 식탁에 주로 오르는 달걀(57.0%), 마늘(45.9%), 고춧가루(34.4%) 등이 많이 올랐다. 계절적 수요가 겹친 돼지고기(9.9%)도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다. 농축수산물이 9.6% 오르면서 물가 상승세를 견인하고 있다. 장보기가 겁난다는 말이 실감이 난다.

여기에 가공식품 가격까지 들썩이고 있다. 원재료 가격 상승과 인건비, 물류비 등의 원가 압박으로 우유, 라면, 과자 가격이 1일부터 올랐거나 인상이 검토되고 있다. 코로나19 4차 유행으로 경기회복이 불확실한 가운데 물가만 오르면서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정부는 하반기 물가가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보고 있는 듯하다. 정부는 “향후 소비자물가는 기저효과 완화로 오름 폭이 축소될 요인이 확대될 것”이라며 아직 정부의 물가 전망치인 연 1.8%를 위협할 수준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이 계속되고 있지만 상승폭이 조금씩 둔화되고 있고 국가 유가가 3분기에 정점을 찍고 내릴 것이라는 전망을 하반기 물가 안정의 근거로 들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정부의 전망을 장담하기 어렵다는 반응을 내놓고 있다. 폭염과 태풍 등 기상 상황과 국제 원자재 가격 등 변수들이 어떻게 작용할지도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다. 더욱이 내달에는 민족 최대의 명절인 추석도 있는 만큼 농축수산물 등을 중심으로 수급 상황에 따른 물가의 추가 상승도 우려된다. 여기에 11조원 규모의 5차 재난지원금이 풀리기 시작하면 한우 등의 수요가 일시적으로 늘면서 물가 상승 압박이 커질 수도 있다. 코로나19, 폭염에 물가까지 계속 상승하면 서민들이 체감하는 고통을 더 클 수밖에 없다.

생활 물가 안정을 위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선제적이고 치밀한 대응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최근 물가 상승은 국내보다 외부 요인이 크다. 국제 곡물가격과 유가 등이 가파르게 상승했다. 한국은행은 금리 인상 카드 사용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직후 열린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다음 회의 시부터는 금리 인상 여부를 검토할 시점이 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다음날인 1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금융 불균형 문제는 하루아침에 해결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늦으면 늦을수록 더 많은 대가를 치르게 된다”고 말했다. 언제든 인상을 단행할 수 있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진다.

서민생활 안정을 위한 물가관리에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지만 지자체의 자세도 중요하다. 서민생계비 안정을 위해 공공요금 인상은 최대한 억제하고 선제적 가격관리에도 나서야 한다. 지자체 차원에서 할 수 있는 대책은 모두 동원해야 한다.

넉넉하고 풍요로운 추석을 맞을 수 있길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