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문화 융합의 핵심 중원역사문화권의 중요성
민족문화 융합의 핵심 중원역사문화권의 중요성
  • 김도연 충북도문화재硏 중원학연구팀장
  • 승인 2021.04.25 18: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역사시선-땅과 사람들
김도연 충북도문화재硏 중원학연구팀장
김도연 충북도문화재硏 중원학연구팀장

 

지난 2020년 6월 `역사문화권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었고, 2021년 6월 시행을 앞두고 있다. 이 법은 우리나라의 고대 역사문화권과 그 문화권별 문화유산을 연구·조사하고 발굴·복원하여 역사적 가치를 조명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정비하여 그 가치를 세계적으로 알리고 지역 발전을 도모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법을 보다 자세히 보면 역사문화권을 크게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마한, 탐라 등 6개의 문화권으로 구분하고 있다. 문화권별 권역을 살펴보면 고구려는 서울·경기·충북지역, 백제는 서울·경기·충청·전북지역, 신라는 경북지역이 중심이다. 또한 가야는 경남·경북·부산·전남·전북지역, 마한은 전남지역, 탐라는 제주지역을 포함한다. 그런데 이러한 권역 설정에 대해서 크게 의문이 드는 점이 있으니 바로 삼국의 문화권 설정과 관련한 부분이다.

고구려와 백제문화권을 보면 대체로 4~5세기 무렵 양국의 영토를 기준으로 문화권을 설정한 듯한 느낌이 든다. 반면 신라문화권은 삼국 통일의 대업을 달성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경북지역으로 한정하고 있다. 더욱이 가야문화권도 포함되어 있으니 신라문화권이 더욱 한정된 것은 아닐까 싶다. 이러한 측면을 보면 수백 년의 역사를 지닌 고대 국가의 문화권을 특정 지역으로 한정 짓는 것이 과연 가능할까라는 생각도 든다. 더욱이 국토 균형발전이라는 측면도 고려하다 보면 문화권의 설정은 실로 어려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역사문화권 설정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 인식 속에서 최근 주목받는 것이 바로 `중원역사문화권 포함'을 위한 움직임이다. 본래 중원문화권은 1980년대 이후 문화재청의 4차에 걸친 문화권 정비사업에 꾸준히 포함되었던 문화권으로 충북, 강원, 경기,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고대 삼국의 접경지역 유적과 유물이 분포한 지역을 말한다. 하지만 이번 특별법에서는 중원역사문화권이 배제되었는데, 이를 포함하기 위해 1월에 도종환 의원, 3월에 이종배 의원이 각각 중원역사문화권을 포함한 특별법 개정안을 발의한 상태이다. 또한 오는 4월 30일에는 충청북도와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에서 중원역사문화권의 위상정립과 미래비전 설정이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앞두고 있다.

사실 우리 역사를 돌이켜보면 삼국은 작은 소국에서 시작해서 고대 국가의 기틀을 만들며 성장하였고, 이후에는 삼국의 항쟁 속에 영토의 확장과 축소가 꾸준히 있어왔다. 특히 4세기 이후 삼국 간의 전쟁은 국운을 건 총력전의 양상으로 흘러갔다. 일례로 지금의 옥천지역으로 비정되는 관산성 전투에서는 백제 성왕이 전사한 사건이 대표적이고, 고구려의 온달 장군은 계립현(충주 수안보 일대)과 죽령(단양 일대) 서쪽을 되돌리지 못한다면 돌아오지 않겠다고 하며 출정하였다 전사했다는 이야기도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이처럼 삼국의 변경이 되는 지금의 충북지역 일대는 각국의 역량이 총 집결된 지역이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신라는 삼국의 통일 과정 속에서 소경을 설치하였는데, 5개의 소경 중 중원경(충북 충주), 서원경(충북 청주), 북원경(강원도 원주)이 충북과 그 주변에 분포하고 있으니 통일신라시대 민족문화 융합의 핵심 지역으로도 볼 수 있다. 따라서 중원역사문화권을 포함한 특별법 개정안은 현행법이 지닌 국가 중심의 역사인식이라는 틀을 벗어나 우리 역사를 보다 다채롭게 바라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특별법의 시행이 얼마 남지 않았다. 아무쪼록 중원역사문화권 설정의 필요성이 인정되어 앞으로 중원문화의 체계적인 연구·활용의 토대가 마련되기를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