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투는 나의 힘
질투는 나의 힘
  • 양철기 교육심리박사·음성 원남초 교장
  • 승인 2020.08.20 18: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심리학으로 보는 세상만사
양철기 교육심리박사·음성 원남초 교장
양철기 교육심리박사·음성 원남초 교장

 

“친구가 성공할 때마다, 내 안의 무언가가 죽는다.”라고 작가 고어 비달(Gore Vidal)은 한 인터뷰에서 말했다. 모든 사람이 때때로 느끼지만, 그러나 아무도 드러내놓고 인정하고 싶지 않은 감정을 비달답게 솔직하게 표현한 말이다. 사람이 가진 감정 중 질투만큼 불편한 것이 또 있을까. 그리고 누구는 `질투는 힘'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질투는 비슷한 사람끼리 비교한다

독일 작가 롤프 도벨리(Rolf Dobelli)는 “흥미롭게도 우리는 나이, 직업, 환경, 삶의 방식이 비슷한 사람을 질투한다.”라고 했다. 야구선수는 야구선수들과 비교하고, 교수는 교수들과 비교하고, 작가는 작가끼리 비교한다. 교황과 자신을 비교하여 교황에게 질투심을 느끼는 사람은 드물 것이며 멋진 자태를 뽐내는 공작새와 자신을 비교하여 질투심을 느끼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질투는 자신과 비슷한 사람과의 비교에서 생긴다.

철학자 쇼펜하우어는 타인을 부러워하는 사람들에게 “숲은 멀리서 바라보면, 놀랄 만큼 아름답다. 하지만 가까이 다가가 숲 속으로 들어가면, 조금 전 보았던 아름다운 광경은 사라지고, 멀리서 보았을 때의 아름다움은 다시 찾아볼 수 없다.”라고 했다.

당신이 부러워하고 질투하고 있는 대상은 당신의 상상만큼 멋지지 않을 수 있다. `집집마다 말 못 할 사정이 있다.'라는 옛말이 있듯이 사람마다 각자 처지가 다른데 굳이 타인과 비교하며 본인의 삶을 판단할 필요는 없다.



#질투심, 담담하게 대하기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질투를 하지 않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질투는 학습이 아니라 유전자 안에 담긴 생물학적 본능으로 생존에 필요한 중요한 감정 반응이다. 그래서 자신이 질투를 타인에게 느낀다고 해서 `나는 왜 이 모양일까' 하고 자책할 필요는 없다. 정상적인 감정 반응으로 내가 살아 있다는 증거인 셈이다. 질투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성숙이 아닌 무기력과 체념이기가 쉽다. 건강한 질투는 삶에 동기를 주는 하나의 힘이 될 수 있다.

윤대현 교수(서울대 정신의학과)는 질투라는 감정을 부정적인 것으로 보고 억누르지 말라고 조언한다. 질투가 느껴질 때면 좋다 나쁘다 판단하지 말고 그냥 에너지로 느끼는 것이다. 누군가에게 확 질투를 느낄 때 `아, 내 안에 성공과 발전에 대한 강력한 에너지가 꿈틀하는구나' 생각하며 씩 웃어주는 것이다. 그 감정을 담담하게 대해 주는 것이다.



#질투는 나의 힘

`질투는 나의 힘'이라는 제목의 작품으로 시와 영화가 있다. 1989년 28세로 요절한 시인 기형도(奇亨度, 1960~1989)의 첫 시집이자 유고시집인 `잎 속의 검은 잎'에 실려 있는 시가 그 중 하나다.

`아주 오랜 세월이 흐른 뒤에/힘없는 책갈피는 이 종이를 떨어뜨리리/ 그때 내 마음은 너무나 많은 공장을 세웠으니/ 어리석게도 그토록 기록할 것이 많았구나/…중략…/ 그 누구도 나를 두려워하지 않았으니/ 내 희망의 내용은 질투뿐이었구나/ 그리하여 나는 여기에 짧은 글을 남겨둔다/ 나의 생은 미친 듯이 사랑을 찾아 헤매었으나/ 단 한 번도 스스로를 사랑하지 않았노라'

또 다른 하나는 2003년 개봉된 박찬옥 감독, 박해일·문성근·배종옥 주연의 영화다. 박찬옥 감독은 기형도 시인의 시에서 영감을 받아 영화를 제작하였다고 한다. 오래전 보아서 어렴풋하지만 절망과 희망을 보는 두 천재 시인과 감독의 시각차를 느끼며 묵직하게 시를 읽고 비디오로 보았던 것 같다.

그리고 지금도 그렇지만 필자는 두 천재에게 전혀 질투를 느끼지 못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