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서화 연서
능서화 연서
  • 이재정 수필가
  • 승인 2020.07.01 20: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生의 한가운데
이재정 수필가
이재정 수필가

 

시골길에서 어느 집의 높은 벽을 기어오르는 잎들을 보았다. 푸른 잎들이 위를 향해 앞서거니 뒤서거니 뻗어가고 있었다. 드문드문 지나는 길에서 만난 풍경이다. 차에서 곁눈질로 볼 때마다 놀랐다. 회색빛 시멘트벽을 타는 솜씨가 예사롭지 않다. 벽은 금방 초록으로 뒤덮였다. 기개로 보아 담쟁이덩굴이려니 생각했다.

밋밋하던 벽이 싱그러울 즈음, 띄엄띄엄 꽃등을 밝히기 시작했다. 하지(夏至)의 햇살이 못 견디게 뜨거웠던지 꽃잎이 비명을 지르며 벙글댔다. 향기도 없는 꽃은 단번에 휘감는 유혹이 아니다. 지나쳤다가도 다시 뒷걸음질쳐서 보게 되는 매력이 있다. 볼수록 빠져드는 꽃이다.

활짝 핀 모습조차도, 화려함을 한껏 드러내 놓지 못하고 살짝 부끄러운 듯 보인다. 웃음 속에 울음을 머금고 있어 보이는 건 슬픈 전설 때문이려나. 악물고 참아낸 눈물을 하늘도 헤아려 한꺼번에 쏟아낼 기회를 준 것일지도 모른다. 이 꽃이 피면 장마가 진다는 말이 있다. 이리도 흐드러지게 피었으니 이제 곧 비가 올 모양이었다.

옛날 소화라는 궁녀가 왕의 성은으로 빈의 자리에 앉는다. 어찌 된 일인지 그 후로 한 번도 찾아오지 않는 임금을 애타게 기다렸다. 아무리 마음 졸여도 끝내 오지 않았다. 단 하루의 사랑으로 얻게 된 상사병을 앓다가 죽어간 비운의 여인이다.

소화는 담장 밑에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죽어서라도 담장 밖으로 고개를 빼고 까치발을 띠어서라도 임을 보고 싶은 마음에서다. 묻힌 곳에 주홍색의 꽃이 피어나 그녀의 이름을 따 능소화라 지었다고 한다. 조금이라도 더 멀리 보려면 높게 올라야 했고 발자국 소리를 들으려 귀를 활짝 열어 놓아야 했기에 나팔을 닮았는가 보다.

능소화는 질 때의 초라함을 보이기 싫어 시드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고인 눈물이 뚝 떨어지듯 꽃송이를 통째로 떨어트린다. 절정으로 빛날 때 송두리째 낙화를 한다. 지는 모습이, 애달픈 사랑을 품은 것도 동백과 닮았다. 바닥에 떨어져 지면서까지 웃는 도도함이다. 그래서 보는 이가 더 애잔하다.

1998년 4월에 안동의 택지개발현장에서 400년 된 조선시대의 미라가 발견되었다. 그 무덤에서 젊은 아내의 애절한 편지가 함께 나왔다. 원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게 신기할 정도였다. 죽은 남자의 시신도 썩지 않고 한지에 쓴 편지도 변하지 않았다. 원이 아버지로 시작되는 서두로 보아 편지를 쓴 사람은 이름 대신 원이 엄마로 알려졌다. 꿈속에서라도 다시 보고 싶은 죽은 남편에 대한 절절한 그리움이 담겨 있다. 그가 사무쳐서 쓴 애틋한 사랑의 편지였다.

한 소설가의 능소화라는 작품은 원이 엄마의 편지를 보고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어여쁜 여인이 꽃이 되어 임을 기다리며 담 너머를 굽어본다는 전설의 소화를 떠올렸다는 것이다. 이렇듯 기다림의 꽃인데다 가석한 사랑이 일치한 셈이다. 작가는 죽어서도 잊거나 이기지 못할 슬픔을 시들지 않고 떨어지는 꽃에 비유하여 표현하고 싶었다고 했다.

후득후득 빗소리를 듣는다. 비에 시르죽던 나무는 생기가 돌고 까부라져 몸을 누이던 낮은 풀들이 고개를 꼿꼿이 세운다. 가뭄의 단비건만 반갑지만은 않다. 여리여리한 꽃에겐 무시로 쏟아지는 빗줄기가 버거울 터이다. 겨울의 동백꽃이야 서서히 눈의 무게를 늘려 그래도 견딘다지만 어찌 견뎌낼 수 있을지.

손만 닿아도 속절없이 떨어지는 꽃. 능소화가 시공을 건너와 아슴아슴 비친다. 폭우가 잔인한 칼날이 되어 땅바닥에 나뒹군다. 주홍빛 일몰이다. “남들도 우리처럼 서로 어여삐 여기고 사랑할까요?”못다 쓴 연서(戀書)가 비를 맞는다. 먼 그리움도 비에 젖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