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인부전(非人不傳)
비인부전(非人不傳)
  • 방석영 무심고전인문학회장
  • 승인 2019.07.04 20: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時 論
방석영 무심고전인문학회장
방석영 무심고전인문학회장

 

비인부전(非人不傳)이란 말이 있다. 사람답지 않으면 전할 수도 없고, 전해서도 안 되고, 전해지지도 않는다는 가르침이다. 모든 것이 다 그렇다. 특히 무엇이 옳고 그른가를 바르게 꿰뚫어 볼 수 있도록 해 주는 진리나 도(道)와 지고한 가치들은 더욱더 그렇다.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가능하게 해줄 진리와 도(道)를 배우고 깨닫고자 하는 자는 일심의 지극 정성을 다하는 성실한 자세를 견지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진리와 정의가 무엇인지 제대로 배울 수도 없고, 설혹 조금 배워 지식을 쌓았다고 해도 자신을 위해 삿되게 오용하거나 남용하기 쉽다. 가르치는 자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인격과 능력을 갖추지 못한 채, 누군가에게 진리와 도에 대해 가르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물론 간단한 단순 지식을 가르치고 전하는 것은, 정확한 지식만 있어도 가능하다. 그러나 진리나 도를 가르치는 자가 인격적으로 부족하거나, 가르치고자 하는 바가 지행합일 되지 않는 상태라면 제대로 전하는 일은 요원하다.

가르치고 배우는 것과 관련, “비기인물교(非其人勿敎) 비기진물수(非其眞勿授)”라는 말도 있다. `비인부전'보다 더 직설적이고 구체적이고 냉정한 표현이기 때문에 보다 쉽고 명료하게 이해되는 가르침이다. 그 사람됨이 올바르지 않으면 가르치지 않으며, 그 가르치고자 하는 바가 진실이 아니면 가르치고 전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미다. 올바른 배움과 올곧은 가르침을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듯하다. 무엇인가를 배우기로 결심했다면, 배우는 자는 자신의 견해를 텅 비우고 하심(下心)한 채, 겸손한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 가르치는 자는 온전한 앎을 토대로 가르치되, 가르친다는 아만이 없어야 한다. 배우는 자는 배운 뒤, 그 배운 바를 때때로 익혀서 완전 소화한 뒤, 청출어람(靑出於藍) 하는 데까지 일로매진해야 한다.

진리나 도(道) 등의 지고한 가치들뿐만 아니라, 무엇이든 제대로 가르치고 제대로 배워야만 한다. 심지어 간단한 구구단도 마찬가지다. 자신이 덧셈과 뺄셈밖에 모른다고 해서, 곱셈과 나눗셈이 없다는 주장을 함부로 해선 안 된다. 자신이 구구단밖에 모른다고 해서, 미적분이란 것이 없다고 주장하거나, 엉터리로 가르치는 짓은 어리석음의 극치다. 누구도 세상의 모든 것을 다 알 수는 없다. 누구나 자신의 비 관심 분야에 대해선 모를 수 있다.

따라서 모르는 것이 없는 사람이 결코 훌륭한 사람이 아니다. 자신이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 정확하게 인지한 후, 아는 것은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하는 사람이 훌륭한 사람이다. 이 같은 맥락에서 공자님은 “아는 것은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하는 것이 바른 앎”이라고 설파하신 바 있다.

자신의 알고 모름을 제대로 아는 것은 기본이다. 그런 연후에, 앎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지혜를 쓸 줄 알아야 한다. 안다는 것 즉, `知(지)'는 화살 矢(시)와 입구(口)를 합한 글자이다. 따라서 입에서 나오는 화살인 앎이란, 화살이 과녁에 적중하듯, 정확한 사실만 전달하면 그뿐이다. 그러나 지혜를 뜻하는 `智(지)'는 알 知(지)와 날 日(일)을 합한 글자다. 따라서 정확한 앎뿐만 아니라, 그 앎을 전해 듣는 상대방을 밝고 환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정확한 앎이라도 듣는 상대방에게 상처를 주면서 오히려 상대를 더 어둡고 괴롭게 만든다면, 아무리 정확한 지식일지라도 별무소용이다. 인터넷상 온갖 지식이 넘쳐나는 이 시대에 시급히 필요한 것은 단순 지식이 아니다. 아전인수식의 온갖 견해들이 아니다. 오직 나와 너 우리를 밝고 환하게 변화-발전시킬 수 있는 지혜(智惠)를 터득해서, 걸림 없이 잘 쓰는 일만이 귀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