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난리
물난리
  • 정세근<충북대 철학과 교수>
  • 승인 2017.07.19 20: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세근 교수의 인문학으로 세상 읽기
▲ 정세근

난 물난리를 겪은 적이 있다. 수해가 얼마나 심각한 것인지 잘 안다. 불도 무섭지만 물이 더 무섭다는 것은 경험해본 사람은 안다. 그 힘, 그 무작위, 그 무감정에 우리는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산사람들은 산에서 가장 조심할 것이 물이라는 이야기를 한다. 비가 내리면 골짜기에 물이 모이고 그 물이 흩고 지나가는 길에는 남아나는 것이 없기 때문이다. 계곡물 부는 속도를 사람이 이겨내지 못한다.

엊그제 비가 워낙 많이 내렸다. 시간당 강수량이 한계치를 넘으니 별의별 일이 다 벌어진다.

일요일이지만 대학원생들이 외국에서 논문발표를 앞두고 있어 서둘러 나갔는데, 이게 웬일, 큰 길이 물에 잠겼다. 10여대의 차가 잠겨 있다.

높은 길로 돌아오는 데 고가 밑은 양쪽에 자동차가 한 대씩 잠겨 있다. 학교 학생회관 앞에도 차가 잠겨 있다. 난 그 길이 낮은 줄 알기에 아예 다른 쪽으로 갔는데, 거기는 맨홀이 반쯤 들린 채 물을 토해내고 있었다.

주차장에도 물이 10센티는 고여 있다. 본디 물이 고이는 데가 아닌 곳이지만 건물주위로 쏟아져 내리는 물이 흘러가는 두께만 해도 10센티는 족히 됐다.

사실 10센티가 고여 있다는 말은 잘못된 말이었다. 정확히 말하자면 물이 10센티 두께로 흘러가고 있었다.

건물 뒤편 계단은 이미 폭포가 됐고, 이 정도 비라면 어디라도 잠기지 않을 수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저류조가 비어 있더라도 물이 들어가는 구멍이 작으면 소용이 없는 것 아니겠는가?

나도 그렇지만 학생들도 모두 슬리퍼를 신고 왔기에 다행이었다. 일요일답게 모두 반바지에 슬리퍼 차림이었다. 오후가 되면서 비가 멈췄고 우리도 공부를 마치고 귀가를 할 수 있었다.

내가 40년 전 수해를 당했을 때 비는 줄곧 왔고 물은 빠지지 않았다. 강의 수위가 낮아지길 기다려야 했다. 거의 사흘이 지나서야 물이 빠졌다. 모든 것이 불어터졌다. 햇볕은 얄밉게도 나중에서야 떠올랐다. 물건을 마당에 말리고 말려도 끝이 없었다. 가구는 트고, 책은 붙었다.

불행 중 다행이라면, 이번 수해에 아직까지 이어서 비가 많이 오지 않는 것이다. 청소라도 할 수 있으니 말이다. 말릴 수라도 있으니 말이다.

그러나 정말 신경 써야 할 곳은 아직도 물이 덜 빠진 곳이다. 그곳은 피해가 시간이 갈수록 늘어날 수밖에 없다. 모든 것이 위태해진다. 정말로 건질 것이 없어진다.

방송에 워낙 크게 떠드니 전화를 제법 받았다. 별일 없냐고. 나도 자칫하면 그 시간에 차와 함께 침수될 수도 있었다.

물 고이는 곳을 조금은 알았지만, 그 큰 8차선 도로가 잠길 줄은 상상도 못했다. 눈으로 보기에는 흘러가는 곳 같은데 물웅덩이가 생기고 말았던 것이다. 조금만 더 일찍 나왔어도 내가 그 본보기가 될 수도 있었다.

이곳저곳의 전화를 받으며 생각했다. 역시 전화 주는 사람이 제일이라고. 평소 제사 때가 아니면 연락하지 않는 가족에게도 전화를 받으니 말이다.

가족은 힘들 때 빛난다고 한다. 비가 많이 오니 날은 궂지만 마음은 넓어진다.

사실 가족에게 인정받고 친척과 싸우지 않기가 가장 힘들다.

가족과 화합하듯 정치를 하면 완전한 정치가 된다는 말도 있다. 가족과 원수 짓는 경우가 얼마나 많은가.

비는 왔지만 화목한 가족이 있다는 것으로 잠시나마 위안을 얻어 보자.

설령 전화를 받지 못했다면, 그 놈도 나쁘지만 내가 더 나쁘다고 생각해보자.



/충북대학교 철학과 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