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살리기 교육공동체가 대안이다
지역 살리기 교육공동체가 대안이다
  • 임성재<칼럼니스트>
  • 승인 2017.07.13 20: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말논단
▲ 임성재

시골마을들이 소멸위기에 처해있다. 인구감소가 원인이다. 빈집이 늘어나고 농사를 짓지 않는 땅도 늘어난다. 농사를 지어서 소득을 올리기도 힘들고, 사회기반시설이나 문화적으로도 뒤쳐져 있어 누가 선뜻 들어와 살지 않는다. 지금 사시는 노인들이 세상을 떠나면 시골마을은 고스란히 빈 공간으로 남을 판이다.

많은 지자체들은 인구유입을 위해 혼신의 노력을 기울인다. 단체장들은 공장이나 자본을 유치해 일자리를 만들고 소득을 높여 잘사는 마을을 만들면 인구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한다. 실제로 공업단지가 만들어지면서 인구가 늘어나는 지역도 생긴다. 그러나 자본의 유입으로 형성된 마을은 자본이 철수하면 금방 폐허로 변하고 만다. 그런 사례는 얼마든지 많다. 그래서 공장유치나 자본의 영입으로 형성되는 인구유입은 믿을만한 것이 못되는데 이마저도 여건이 형성된 곳은 극소수에 불과할 뿐, 대부분의 지자체는 인구감소에 대한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학교를 통해 마을을 살려내자는 운동이 일고 있다. 충북교육청이 벌이고 있는 `충북행복교육지구' 사업이다. 올해 시작된 충북행복교육지구 사업은 “교육청·지자체·지역사회가 서로 협력하여 지역의 특색에 맞는 교육을 통해 지역전체의 교육력을 높이고 정주여건을 강화하려는 사업”이다. 이 사업의 필요성은 “아이의 올바른 성장을 위해서 학교의 역할뿐 만아니라 지역사회의 참여와 협력이 필요하며, 인구절벽시대를 맞아 마을과 학교의 협력을 통해 지역 특성과 전통·문화를 살린 맞춤형 교육으로 교육력 향상과 정주여건 강화가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충북교육청은 설명하고 있다.

이 사업은 교육청이 추진하는 사업이다 보니 교육에 방점이 찍혀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 안을 조금만 살펴보면 아이들을 바르게 교육시켜 학교를 살리는 길이 곧 마을을 살리는 길임을 보여준다. 실제로 학교 살리기 운동을 통해 지역사회를 변화시키고 사람들이 모여드는 지역으로 만들어낸 사례들이 전국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충북행복교육지구 사업은 지자체들도 발 벗고 나서야할 사업이다. 학교 살리기 운동을 교육청과 학교에만 맡기지 말고 지자체도 이운동의 한 주체로 적극 나섬으로써 행복교육지구운동이 행복교육에 머무르지 않고 행복한 지역사회로 까지 나아가려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학교를 바꿔 폐교위기에 처해가는 지역의 학교에 아이들이 모여들고, 그 학교를 중심으로 학부모들과 지역주민들이 함께 힘을 모아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운동에 나선다면 그 어떤 공동체보다 끈끈하고 역동적인 모임이 되가는 사례는 이미 넘쳐난다.

충북행복교육지구 사업은 도교육청과 7개 지자체가 예산을 공동으로 투자하여 진행하고 있다. 그런데 한 가지 걱정은 관이 앞장서 성과위주로 추진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하는 점이다. 교육청이나 지자체입장에서는 업적으로 평가받을 만한 사업이고,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이니까 서둘러 성과를 내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이 일은 관이 주도해서는 결코 성공할 수 없는 사업이다. 조금 늦더라도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나서고, 거기에 교육의 주체인 선생님과 학생, 학부모들이 힘을 보텔 때 사업의 연속성과 내실 있는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오는 9월에 정식 출범을 앞둔 `행복한 미원지역교육공동체'(가칭)는 눈여겨볼만한 사례이다. 작년 연말에 이 지역으로 귀농, 귀촌한 몇몇 가구를 중심으로 모임을 시작해 지금까지 열 차례의 준비모임을 통해 지역에 교육공동체운동이 왜 필요한지를 주민들에게 알려왔고, 행복씨앗학교인 미원중학교와 협력하며 교육공동체의 싹을 틔워 왔다.

이들의 목표는 학교에서 끝나지 않는다. 학교 바로세우기를 매개로 지역사회가 힘을 모아 살기 좋고 사람들이 들어와 살고 싶어 하는 마을을 만들자는 것이다. 그들은 사람이 모이면 농사를 짓지 않더라도 자연히 일거리가 생기고 소득이 늘어나는 순환과정을 통해 침체되어 가는 마을도 복원되리라 믿고 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교육을 마친 그들의 자녀들이 이 마을에 돌아와 이어 살며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는 그런 마을을 만들자는 꿈을 꾸고 있다.

이들의 꿈이 이뤄지는 것이 곧 충북행복교육지구의 성공이고, 지자체들이 염원하는 인구유입과 마을 살리기의 본보기가 될 것이다. 교육당국과 지자체의 세심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할 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