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행(燕行)
연행(燕行)
  • 정세근 <충북대 철학과 교수>
  • 승인 2015.07.15 18: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세근 교수의 인문학으로 세상 읽기
정세근 <충북대 철학과 교수>

조선말 식자들이 꿈꿔왔던 것이 연행(燕行)이다.

이때 ‘연’은 북경지역을 전래적으로 가리키는 말이다. 청주를 서원(西原)이나 주성(舟城)으로, 공주를 웅진(雄津)으로 부르는 것과 같다. 박지원의 ‘열하일기’(熱河日記)도 가는 길의 묘사가 유명한 연행록 가운데 하나다.

재밌게도 당시 한 자락하던 사람이라면 자기 집에 ‘서양화’ 또는 ‘서국화’(西國畵) 한 점씩은 걸어놓고 있었다. ‘성호사설’로 유명한 이익도 자기 집에 한 점 걸어두고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입체기법을 도입했다는 강세황(묘소가 충북 진천에 있다)도 북경에 다녀오는 것이 꿈이었는데 말년에 청나라 임금님 생일잔치로 그 소원을 이룬다. 당시의 북경은 개화 초기의 뉴욕이었다.

북경에 가면 그림, 망원경, 아니면 안경을 사오는 것이 일반적인 풍경이었다. 강세황도 이익의 집에서 본 서양화와 안경에 대한 기록을 남긴다.

며칠 전에 번갯불에 콩 구워먹듯이 북경에 다녀왔다. 하루 행사를 위해 왔소 갔소 한 일정이었다.

두 나라 정상끼리의 교류사업의 일환이라서 거절도 못 했다. 자주 오가지만 금번에 본 것 몇 가지를 적는다.

내가 가는 날 중국은 드디어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을 출범시켰다.

중국과 일본이 중심이 되어 IMF 같은 것을 만들려고 했지만 미국이 늘 딴지를 걸었는데, 이제는 중국이 그에 맞설 실력이 됐다. 국민총생산량을 기준으로 이사국 지분을 갖기로 했으니 우리는 양에서 밀렸다. 그래도 경제부총리가 연설을 하도록 예우는 받았단다. 사진에는 시진핑 오른쪽에서 세 번째니 왼쪽까지 따지면 밀리긴 많이 밀렸다.

중국 공산당원의 비율은? 2014년 기준으로 8779.3만 명이다. 인구를 13억만 보더라도 열다섯 명 가운데 하나꼴이다. 작년 대비 110.7만 명이 늘어 증가 폭은 1.3%다. 인구증가율로 따질 것인지, 공산당원의 증가율로 따질 것인지는 생각해볼 문제다.

여자당원이 24.7%, 초대졸 이상이 43%다. 요즘은 공부 좀 해야 당원이 될 수 있나 보다. 직업분류로는 농어민이 2593.7만 명으로 가장 많고 노동자는 732.2만 명이다. 망치보다는 낫이다. 학생은 224.7만 명이다. 기업가들도 많은데 국영기업이 사기업으로 전환된 예가 많으니 뭐라 단정하기 어렵다.

책방에 가면 최근 문화를 본다. 밤에 도망 나와 왕푸징서점을 찾았다. ‘옛날 북경’(北京)이라는 책이 잘 팔리는 것을 보니, 이제는 역사의 중요성을 점차 깨닫는 것 같다. 올림픽 때 없애려고 했던 ‘후통’(胡同)이라는 골목길 안내책자도 잘 팔린다. 네모난 집(四閤園)으로 이루어진 골목풍경을 되찾는 것은 우리가 청주의 수암골을 관광지로 여기는 것과 같다. 통영의 통피랑, 부산의 감천 마을은 이제 우리의 향수가 되었다. 그런데 정말 괴이하면서도 부러운 것은, ‘북경대의 철학과목’(北大哲學課)이라는 책이 베스트셀러라는 점이었다. 아직은 사상우선의 사회로 보인다. 철학이 국가를 이끌어 가는 모습이다.

‘방선’이라는 북해라는 인공호수 곁의 황실요리점에도 갔다. 원래는 만주족과 한족의 음식(滿漢大席)을 2박3일씩 먹었던 데인데, 요즘은 약식이 된 곳이다. 방선은 ‘임금님 요리를 흉내 낸다’는 뜻이다. 10년 전에 곰 발바닥과 코끼리 코를 먹은 적이 있는데, 이번 음식은 영 아니었다. 낮에는 차도 파는 것을 보니 상업화의 결과 같다.

언제나 뿌연 북경이었지만 이번에 맑은 하늘 아래 도시를 둘러싸고 있는 산을 보면서, 그 자리에 있었을 스물넷의 김정희가 떠올랐다. 그나 나나 돌아가면 귀양길이 기다리고 있다.



/충북대학교 철학과 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