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어처럼(7)

강대헌의 소품문(小品文)

2018-07-12     강대헌 에세이스트
강대헌

 

오늘도 연어는 지난번까지 모습을 보여준 아흔세 마리와 함께 흐르는 강물을 거꾸로 거슬러 올라갈게요.

94. “행복은 자신이 다른 사람들에게 쓸모가 있다고 느끼는 것,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것, 먼 훗날에 달성해야 할 목표가 아니라 지금 이 순간에 존재한다”고 다른 나라 사람 꾸뻬 씨가 말했잖아요.

95. 결제(結制)는 결제다워야 하고, 해제(解制)는 해제다워야만 안거(安居)가 무탈한 거죠.

96. 화두(話頭)는 들고 있는 것이지, 팔이 아프다고 해서 내려놓아선 안 되겠어요.

97. 물은 깊고 물결은 넓다는 “수심파랑활(水深波浪闊)”이 어찌 이백(李白)에 대한 두보(杜甫)의 걱정만 되겠는지요.

98. 맥아더(Douglas MacArthur)와 사관학교 동기였지만, 소령 계급만 16년을 달았던 아이젠하워(Dwight D. Eisenhower)는 상관이었던 맥아더에게 섬김의 리더십을 보여주었다고 합니다.

99. 조정권의 시 `산정묘지(山頂墓地) 1'은 이렇게 끝납니다. “육신이란 바람에 굴러가는 헌 누더기에 지나지 않는다./영혼이 그 위를 지그시 내려누르지 않는다면.”

100. 기록하는 인간을 `호모 아키비스트(Homo Archivist)'라고 부릅니다. 우리 모두 어떤 기록이든 멈추지 않기로 해요.

이제 연어는 어느덧 백 마리가 되었습니다.

제가 `연어처럼(1)'로부터 오늘까지 연결된 시리즈를 시작할 때 했던 말이 있었죠.

“흐르는 강물을 거꾸로 거슬러 오른다는 연어처럼, 때론 지나온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고 싶을 때가 있죠. 때 지난 메모들을 거울처럼 여겨 슬며시 들여다보는 것도 그리 무관한 일은 아닐 겁니다. 자, 그럼 시작합니다.”

그때 또한 이런 바람도 비추었고요.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의 강물이 제가 풀어놓는 언어로 된 연어 문장들의 은빛으로 조금이라도 흔들리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동안 `연어처럼(1)'로부터 `연어처럼(7)'까지 제가 풀어놓은 연어 백 마리 가운데 몇 마리나 살아남을지 모르겠습니다.

작년 10월에 발표된 “우리나라에서 방류된 연어 가운데 회귀한 연어는 0.4%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1000마리를 방류하면 그중에서 돌아오는 것은 4마리뿐이라는 얘기다”라는 어느 기사를 기준으로 한다면, 제가 방류한 백 마리의 연어들은 다 사라질 수도 있고, 돌아오는 네 마리가 다 될 수도 있겠네요.

제 바람은 백 마리 중 한 마리라도 다시 돌아와서 강물에서 은빛으로 퍼덕거렸으면 좋겠다는 겁니다.

`강과 연어와 물푸레나무의 관계'라는 안도현의 시를 함께 읽어보았으면 합니다.

“남대천 상류 물푸레나무 속에는/연어 떼가 나무를 타고/철버덩거리며 거슬러 오르는 소리가 들린다/나무가 세차게 흔들리는 것은 바로 그 때문이다/연어는 알을 낳은 뒤에 죽으려고/죽은 뒤에는 이듬해 봄 물푸레나무 가지 끝에/수천 개 연초록 이파리의 눈을 매달려고/연어는 떼 지어 나무를 타고 오른다/나뭇가지가 강줄기를 빼닮은 것도 바로 그 때문이다”

제가 세상의 강물에 연어 몇 마리를 풀어놓는 것보다도 더 중요한 게 있군요. 물푸레나무 같은 여러분과의 관계일 겁니다.

/에세이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