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가 비상이다
건설업계가 비상이다
  • 문종극 기자
  • 승인 2008.02.01 22: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데스크의 주장
문 종 극 <편집부국장>

건설업계가 죽을 맛이다.

특히 충북지역을 비롯한 지방의 대부분의 업체들은 지금 비상이다. 수도권 업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주물량과 함께 공사규모도 적을 수밖에 없어 비상사태를 극복하는데 그 만큼 여력이 달리기 때문이다.

최근들어 철근, 골재 등 건설 자재가격의 급등은 원가부담으로 연결될 수밖에 없어 엎친데 덮친 형국으로 건설업계를 짓누르고 있다.

현대제철과 동국제강 등 주요 철강업체들이 지난달초 철근가격을 톤당 평균 4만원 인상한데 이어 추가인상을 고려하고 있다. 예상되는 추가 인상액을 감안하면 지난해 1월 10 짜리가 46만6000원이었던 것에 비해 1년 사이 16만5000원 정도(35%)가 오르게 된다는 보도다. 폭등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적절할 것 같다. 철강제품 뿐만이 아니다. 줄줄이 인상이다.

골재와 시멘트, 레미콘과 아스콘 가격도 오른다. 자갈값과 모래값이 천정부지로 인상되는가 하면 시멘트 5대 업체가 시멘트가격을 톤당 6만2000원으로 올려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처럼 건설 자재가격이 줄줄이 인상되고 있는데는 이유가 있다. 원재료인 유연탄과 고철 수입가격이 급등하고 있기 때문이다.

건축 자재가격이 급등하면서 건설업체들은 경영에 적잖은 부담을 안을 수밖에 없다. 건설업계는 폭등하는 자재값 때문에 시공원가를 맞출 수 없는 상황이라며 장탄식을 하고 있다. 일반적인 상식으로는 공공건설사업의 경우 물가변동에 연계해 자재비 인상을 반영할 수 있어 업체는 큰 문제가 없다는 시각이다.

그러나 이는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이 사실이다. 설계변경 등의 절차를 거쳐 현실반영을 해주는 발주처는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는 것이 업계의 주장이고 보면 무슨 말인지 알 듯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최근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 업체들은 적자시공도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다며 볼멘소리다.

이처럼 건설업계가 이중삼중의 어려움을 겪자 충북도의 경제특별도를 들먹인다. 기대했던 경제특별도가 기업유치에 올인하면서 건설경기 활성화에는 소홀하다는 것이 불만의 요지다. 일정부분 사실이기도 하다.

물론 도가 침체된 지역 건설경기 부양을 위해 노력을 안한 것은 아니다. 지난달 중순쯤 충북도가 실적공사비 적용기준을 대폭 상향 조정한다는 발표를 했다. 일반건설공사는 30억원에서 50억원으로 대폭 상향 조정하고, 전문건설공사는 전국 실적단가 적용기준을 감안해 지난해 적용금액인 5억원을 유지키로 했다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실적공사비제도를 적용할 경우 최저가 입찰계약 단가를 기준으로 설계비를 산정, 정부표준품셈 방식에 비해 단가가 15% 정도 낮아 공사비가 감소하고 소규모 공사에는 적용이 어려워 중소 건설업체의 경영난 가중과 부실공사 요인이 된다는 업계의 지적을 받아왔다.

그러나 이번에 적용기준을 상향 조정하면서 발주처는 공사비가 증가되는 부담을 안지만 상대적으로 건설업계는 유리하게 작용, 건설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 정도로는 침체된 지역 건설경기를 부양하기에는 부족하다. 자재값 폭등으로 비상이 걸린 건설업계에 활력을 불어놓기에도 미흡하다.

이같은 시기에 충북도가 경제특별도 건설에 지역 건설업계를 참여시키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강구한다는 소식이어서 반갑다. 기업이 충북으로 이전하는 과정에 지역 건설업체를 참여시킨다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대책이나 방안에 머물지 말고 실질적으로 이행이 될 수 있도록하는 프로세스가 필요할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