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과 과학의 만남으로 되살리는 노트르담 대성당
문화예술과 과학의 만남으로 되살리는 노트르담 대성당
  • 김태선 충북자연과학교육원 창의인재부장
  • 승인 2022.02.02 18:21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선생님이 들려주는 과학 이야기
김태선 충북자연과학교육원 창의인재부장
김태선 충북자연과학교육원 창의인재부장

 

노트르담 대성당은 프랑스의 대표적인 고딕양식 걸작품이다. 잔다르크의 명예 회복 재판도 여기서 열렸으며, 나폴레옹 대관식도 여기서 있었다. 빅톨 위고 소설의 배경이 된 장소이기도 한 이곳이 지난 2019년 4월 갑자기 발생한 화재로 무너졌다. 보수공사를 진행 중이던 첨탑 주변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바람에 첨탑과 주변 지붕이 무너져버렸다.

거룩함과 웅장함에 감탄하며 둘러본 장소인지라 화재 소식을 들었을 때 허탈했다. 개보수가 이뤄지기는 했지만 어쨌든 12세기부터 내려온 역사적 흔적을 미래 세대에 보여줄 수 없다니….

우리나라도 화재로 문화적 유산이 소실되는 아픔에서 예외는 아니다. 국보 제1호 숭례문이 생각난다. 2008년 2월 방화범의 소행으로 전소된 후 2013년 5월 복원됐지만 임진왜란이나 6·25전쟁에서도 그 자리를 지켰던 숭례문이 잿더미가 된 모습을 보며 허탈했던 기억을 잊을 수가 없다.

그런데 여기에 마치 슈퍼맨처럼 과학자들이 등장한다. 프랑스 역사유적연구소의 연구팀은 22명의 과학자, 공학자가 모여 대성당의 석재, 유리, 페인트, 금속을 분석했다. 국제학술지 `Science'에 따르면, 기존 성당을 건축하면서 사용되었던 재료들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과학자들은 복원에 대한 연구가 한창이다. 화재 후 바닥에 떨어진 석재 중에서 어떤 것이 재활용이 가능한 것인지 색깔만으로 재활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과학자들이 찾아낸 덕분이다.

사실 간신히 남아있는 건물 벽들도 복원하기 어려운 요소가 있었다. 화재 당시 불을 끄면서 건물을 구성하고 있는 석회암이 물을 많이 흡수하게 되는 바람에 원래 무게보다 30%가량 더 무거워졌고, 흡수된 물은 겨울을 지나면서 수축과 팽창을 거듭함에 따라 건물이 점점 금이 가기 시작한 것이다. 과학자들은 석회암의 중량을 측정해서 재붕괴를 막기 위한 건조 방법을 찾아 건물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노트르담 대성당에는 200톤이 넘는 납이 화재로 녹아내리고, 각종 철 구조물이 뒹굴었다. 이 폐허 같은 장소에서 과학자들은 철 구조물이 얼마나 열을 받았는지 조사하는`열지도'를 제작하고, 납 오염을 해결할 방법을 찾고자 노력했다. 심지어 화재 전 대성당에서 열렸던 음악회에서 측정해놓은 음향특성을 기준으로, 복원된 대성당의 음향 특성까지 파악하는 `소리지도'를 제작하며 복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24년까지 노트르담 대성당을 복원하겠다고 한 프랑스의 공언대로 노트르담 대성당의 복원이 이뤄지기를 희망한다. 커다란 상실감을 주었던 이 대성당은 다양한 분야의 과학기술에 의해 미래 세대뿐만 아니라 가보지 못한 이들에게까지 문화유산의 체험이 이루어질 수 있는 멋진 장소로 탈바꿈하기를 소망해본다.

그런데 참! 아이러니하게도, 프랑스 내부 지침에 의해 500년 동안 한 번도 허가된 적이 없이 베일에 싸여 있던 성당 지하가 화재 이후 공개되면서, 연구진들의 성당 지하 석조물에 대한 연구가 가능해졌다고.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ㅇㅇ 2022-02-16 03:36:37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