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외국인 노동자 의식교육 강화하자
다문화·외국인 노동자 의식교육 강화하자
  • 조보현 괴산군 여성단체협회장
  • 승인 2021.08.05 19: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고
조보현 괴산군 여성단체협회장
조보현 괴산군 여성단체협회장

 

대한민국은 지금 글로벌 시대를 살고 있다. 그만큼 환경이 변했다.

1990년대 초부터 지역마다 외국인들과 다문화세대도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이제 젊은 층의 출산 인구가 늘지 않는다면 반대로는 다문화세대가 더 늘어날 것은 이미 예견되는 상황이다.

여기에 ‘먹고, 살겠다’고 일자리를 찾아 국내로 유입되는 젊은 청년 이방인도 한층 늘어났다.

때맞춰 중소기업은 물론 농촌지역도 외국인 노동자가 없으면 공장을 가동할 수 없고, 농사도 경영할 수 없다는 아이러니한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그만큼 우리 대한민국은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다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특히 1992년 한국과 중국의 공식 수교 이후 중국인(동포)의 이주가 시작되고, 동남아 국가 젊은 청년들도 ‘청운의 꿈’을 안고 몰려들고 있다.

이들 외국인 노동자는 제조업과 농업, 건설현장 등에서 일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불법 체류자도 늘고 있다.

결국 노동인권 차별과 다문화세대의 갈등 폭도 커지면서 사건, 사고도 종종 발생하고 사회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

국제 결혼한 이주여성들 중 일부는 출산을 거부하고, 대한민국 국적만 취득하면 집을 나가고, 한 가정을 파탄 내는 사례도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이들 여성은 국제결혼을 전제로 한국에 들어오고 국적만 취득하면 돈벌이에 나설 뿐, 파탄에 따른 죄의식은 느끼지 못하는 것도 더 큰 문제다.

혹은 가정을 이룬 뒤엔 남편(가족들)과 생각과 뜻이 맞지 않아 서로 폭력을 행사하고, 심지어 돌이킬 수 없는 끔찍한 사고도 발생하고 있다.

이는 결국 짧은 만남을 통해 서로를 알지 못하고, 이해하지 못하는 게 원인이다. 훗날엔 사회문제로 자주 등장하면서 청소년들의 교육적 측면에서도 악영향만 줄 뿐이다.

즉 국제결혼은 정부와 자치단체가 보다 체계적이고 정확한 정보와 시스템을 연결하면서 서로 숙련기간을 거치고 충분히 소통하는 시간을 주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 여기에 상대 국가에 대한 역사와 문화, 전통을 먼저 이해하는 것도 필요하다. 그래야 최소한의 가정 파탄은 막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외국인 노동자는 대부분 단순한 일용직 기능 인력이다.

그러나 이들 중엔 관광비자 등으로 입국한 뒤 훗날 불법 체류자로 전략하고, 불안을 느끼면서도 떠돌며 돈벌이에 급급해한다.

당국의 자료에 보면 올해 상반기 기준 국내에 체류 중인 외국인은 노동자를 포함해 중국 69만여명, 미국 14만여명, 베트남 11만4600여명, 필리핀 4만9600여명, 일본 4만4600여명 순이다. 이중 중국이 압도적으로 1위를 기록했다.

이어 태국 4만1500여명, 인도네시아 3만2300여명, 몽골 3만600여명, 우즈베키스탄 2만9000여명, 대만 2만8000여명으로 나타났다.

전체 체류자 수는 약 1백39만2160여명을 웃돌고 있다.

이들 중 불법 체류자도 중국(6만9940여명), 베트남(1만6870여명), 태국(1만2900여명), 필리핀(1만1460여명), 몽골(1만420여명) 순이다.

또 미국(6890여명), 우즈베키스탄(5380여명), 인도네시아(5290여명), 방글라데시(5200여명), 파키스탄(3080여명)순으로 약 16만6510여명이 불법 체류자 신분이다.

이처럼 외국인 노동자는 국내에 처음 들어올 당시에는 순종했지만 십수년이 지난 현실은 상황이 반전됐다.

결론은 이제라도 정부와 자치단체가 이들을 정기적으로 교육하고, 지도, 감독을 강화해야 한다.

국내 문화와 역사, 전통을 먼저 주입하는 제도적 장치도 시행돼야 한다. 그래야 사건, 사고, 도주 등 파탄 행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