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극적인 예술 행정이 필요하다
적극적인 예술 행정이 필요하다
  • 연지민 기자
  • 승인 2021.08.02 20: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청논단
연지민 부국장
연지민 부국장

 

문화예술의 위기다. 팬데믹 사태가 가져온 위기는 생각보다 심각하다. 비대면 사회가 생활화되면서 대면으로 진행했던 많은 문화예술 행사가 위축되고 또 위축되었다.

2년 가까이 축제나 문화행사의 취소와 연기, 축소는 기본이고 공연장, 전시장, 미술관, 박물관, 도서관 등도 찾는 이들의 발길이 줄어들었다.

긍정적으로 보면 자발적인 사회적 거리두기이지만, 공공 기반시설에 대해 선제적 방역을 표방하면서 변화 대응이 느린 문화예술계는 회복이 어려운 지경으로 가고 있다.

문화예술 현장은 한 달 앞도 예측하기도 어렵다. 감염병 추이에 따라 그때그때 달라지는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로 행사를 기획하는 일도 주춤할 수밖에 없다. 움직일 만하면 다시 얼어붙는 예술현장은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예술활동만이 그나마 자유로울 뿐이다.

예술 위기를 감지한 정부나 지자체가 지원규모를 늘리고 있지만, 예술활동은 탄력을 받지 못하고 있다. 작가들 사이에선 길어질 코로나로 작업에 전념하자는 체념 분위기도 형성되면서 현장은 냉랭하다. 어렵게 준비해 공연이나 전시를 개최한들 수익구조는 차치하고, 관람객조차 보지 못하(않)는 예술로 만들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사회분위기와 맞물린 측면도 있고, 과거 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한 대응방식도 원인이다. 비대면 사회가 되면서 디지털 미디어는 가장 중요한 대중매체가 되었다. 사회, 경제, 교육 등 모든 분야가 인터넷을 기반으로 지구촌에서 작동하고 있다. 문화예술 역시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디지털 아트가 대세로 떠오르면서 예술의 새 지평을 열어가고 있다.

이런 시류에 부합해 경기도는 KT와 블록체인 기반 공연예술 콘텐츠 플랫폼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코로나19로 관객 없이 무대를 올려야 하는 공연예술계의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해 동영상 콘텐츠 플랫폼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플랫폼 사업을 공공영역에서 지원함으로써 지역의 문화예술계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소비를 통해 예술을 지원하는 구조의 플랫폼은 지역의 예술인들의 문화예술 활동은 물론, 경제적 지원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시대의 대세인 디지털 아트나 플랫폼 사업은 그러나 충북의 문화예술계는 여전히 남의 이야기로 들린다. 기술혁명으로 자본주의 산업들은 저만치 달려나가고 있는데 예술계는 경제적인 이유로, 기술적인 이유로 기술과의 결합이 간단치 않기 때문이다.

더구나 문화예술분야의 코로나 대응은 아쉬운 점이 많다. 대부분 기반시설이 공공영역에서 관리하다 보니 방역차원에서 선제적으로 폐쇄를 결정해 운영이 중지됐다. 예술인들이 서야 할 무대를 공공기관부터 차단한 셈이다.

방역을 먼저 고려한 지침이지만, 오히려 방역이 허술한 민간시설을 이용할 수밖에 없어 최선의 대응이라고 보기 어렵다. 공공시설 이용이 제한되면서 가난한 예술계가 할 수 있는 일은 그리 만치 않다. 그렇기에 예산과 행정력이 가능한 공공의 영역에서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사회환경이 급변했다고 예술의 본질이 바뀌는 건 아니다. 대면과 비대면에서도 예술의 본질은 달라지지 않는다. 변화의 중심에는 예술이 유통되는 방식만 바뀔 뿐이다.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는 상황에선 바이러스와 공존하는 삶의 방식을 문화예술계도 고민해야 한다. 산발적 지원에 그치는 수준으로는 지역의 예술을 논하기 어려운 시대가 되고 있다.

지자체의 적극적인 예술 행정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