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주장
데스크 주장
  • 충청타임즈
  • 승인 2007.07.10 22: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북과 교육강도(敎育强道)
한 덕 현 <편집국장>

취임 2년을 맞은 정우택 충북지사가 교육강도(敎育强道)를 주창하고 나섰다. 경제특별도 건설에 이은 본인의 두 번째 의제설정인 셈이다. 이를 그대로 직역하면 교육이 강한 충북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여론은 아직 기대반 우려반이다. 기대는 취임하자마자 경제특별도 건설을 치고 나와 어떤 분야든 전국 비중 3%에 불과한 충북의 위상을 하루아침에 업그레이드시킨 정치적 순발력과 저력을 다시 한 번 인정하는 것이고, 우려는 국가정책중에서도 가장 까다롭다는 교육문제를 기습적으로 거론한데 대한 과정과 준비의 미흡함을 지적하는 것이다.

그러나 결론부터 말하면 교육강도를 자신의 2년차 과제로 제시한 정 지사의 혜안은 주목받을 만하다. 그 상징적 의미부터가 크기 때문이다. 물론 교육정책은 수립 뿐만 아니라 이행하기가 지난하다. 더구나 막대한 예산을 수반하는 것이라면 당연히 그 정도가 더하다. 그래서 정 지사의 교육강도 천명에 대한 반응과 관심은 다방면으로 각별할 수밖에 없다.

청주는 여전히 교육문화의 도시로 불린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청주를 교육의 도시로 인정하는 것은 그 주체인 충북인 보다는 외지인 사이에서 더 견고하다. 외지인들이 느끼는 '청주=교육의도시' 등식은 사실 관성에 의한 측면이 크다. 오랫동안 그렇게 불려 왔고, 때문에 지금도 그럴 것이라고 생각한다. 외지인들은 이처럼 청주의 역사깊은 정체성을 고집스럽게() 인정하고 있다. 청주의 관문에 들어서는 순간 교육의 이미지화는커녕 휘황찬란한 러브호텔부터 먼저 접하는 현실에서 이 얼마나 고마운 현상인가.

교육강도는 바로 이런 점에서 청주, 더 나아가 충북의 체면을 일거에 살린 꼴이 됐다. 그 구체적 실천방안이야 앞으로 숱한 논란을 수반하겠지만, 그동안 충북이 잊고 지냈던 '실체적 브랜드'를 다시 부활시키는 구체적 계기를 제공한 것이다.

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인재양성이다. 이는 '사람이 곧 경쟁력'이라는 명제와도 일맥상통한다. 사실 충북의 미래를 고민한다면야 지금 이 시점에서 교육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굳이 현재의 대선정국을 빗대어 아픈 곳을 찌른다면 충북은 그동안 역대 정권의 들러리에 불과했고, 이는 철저히 인물부재에 기인한 것이다. 반세기 동안 총리 한 번 내지 못했다는 지역의 고질적 자학을 떨쳐버리지 못하는 한 미래는 여전히 암담하다.

지방자치단체가 자치행정의 중심에 교육을 앉히게 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지금까지 교육은 국가차원의 정책에만 의존했다. 하지만 앞으로는 다르다. 지금의 추세라면 우리나라에서도 지방자치의 핵심은 곧 교육이 된다. 지자체가 교육정책의 주체가 된다는 것이다. 이미 이에 발빠르게 앞서가는 자치단체들도 있다.

고양시의 '세계 10대교육도시 건설' 인천시의 'UN 지속가능발전 교육도시 선정' 대전시의 '천문 우주 과학의 교육도시 육성' 부산시의 '세계적인 교육도시 건설' 등이 대표적 사례다. 이 문제로 자치단체와 교육계 사이에 갈등을 빚은 곳도 있다. 앞으로 충북이 교훈으로 삼아야 할 부분이다.

교육정책은 워낙 미치는 범위가 방대하고 파장이 크기 때문에 그 결정과 수립과정은 철저히 공개적이고 신중해야 한다. 우리나라 최고의 전문가들이 입안한다는 입시제도는 수십년이 지나도록 여전히 개편과 수정을 거듭하며 공전하고 있다. 이는 곧 충북의 교육강도(敎育强道) 입안에 있어 과연 누가 참여하고, 어떤 절차를 거쳤는지를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이유다. 교육강도가 미국의 보스톤, 얼바인처럼 청주를 세계적인 교육도시로 탈바꿈시키는 결정적 계기가 되기를 간절히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