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능오염수 해양방류 또다른 재앙
방사능오염수 해양방류 또다른 재앙
  • 연지민 기자
  • 승인 2021.04.26 20: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청논단
연지민 부국장
연지민 부국장

 

4월 26일은 구소련의 체르노빌에서 핵발전소 사고가 발생한 지 35년째 되는 날이다. 그리고 일본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가 발생한 지 10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두 원전 사고는 세계 각국이 핵에 의존하던 에너지를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계기를 만든 대형 사건이었다.

그리고 개발과 성장에 초점을 두었던 국가의 정책이 불가피하게 수정을 선택도록 만든 두 사건은 35년과 10년이 지난 지금도 사고는 여전히 현재 진형형이다. 체르노빌은 10층 높이의 콘크리트벽을 만들어 방사능 차단을 하고 있지만 풀 한 포기 나지 않는 죽음의 땅으로 남아있다. 일본 역시 사고 현장을 수습할 방법을 찾지 못한 채 실상을 감추는데 급급하기만 하다. 전문가들은 100년 세월이 지나도 체르노빌과 후쿠시마는 제 모습을 찾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을 하고 있어 사고에 따른 충격을 방증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일본 정부가 지난 13일 각료회의를 열고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는 것으로 결정하면서 국제사회에 파문을 불러오고 있다. 일본 스가 총리는 오염수 저장 공간이 포화상태이고, 후쿠시마 현의 부흥을 위해 해양방류가 필요하다며 100~200만톤 가량의 방사능 오염수를 바닷물과 희석해 2023년부터 약 30년가량 태평양에 버리겠다고 발표한 것이다.

이에 일본과 가장 인접해 있는 한국과 중국은 즉각적으로 반대 뜻을 표명했다. 해양생태계 오염으로 인한 국민의 생존 위협에 강력히 항의하며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태평양을 공유하는 국가들 역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가 현실화되는 것에 대해 크게 우려를 표했다.

그 누구도 방사능 오염수에 따른 안전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일본의 일방적인 해양방류 결정은 무책임한 태도가 아닐 수 없다. 일본정부가 주장하듯 방사능 오염수를 식수기준보다 농도를 낮춰 방류해도 안전을 담보하기 어렵고, 자국민은 물론 세계 인류를 위험에 빠뜨리는 행위이다.

이처럼 방사능 오염수의 해양방류는 단순히 일본이나 주변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태평양을 끼고 있는 국가를 시작으로 전 인류의 재앙으로 닥쳐올 가까운 미래이기도 하다.

실제 독일의 해양 과학연구소가 계산한 방식에 따르면 방사능 오염수가 방출되면 57일 이내에 태평양 전부로 퍼질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3년 후부터는 해류의 순환에 의해 미국과 캐나다 인근해역까지 방사능 오염수가 퍼져 나갈 것이고 전망했다.

또한 방사능 오염수 속에 있는 현재의 기술로는 없애지 못하는 방사능 물질이 들어 있어 인체에 치명적인데다, 무생물인 로봇조차 방사선 노출에 고장 나는 현실을 고려한다면, 국제원자력기구의 안전기준에 들어맞은 오염수 방류가 이루어진다고 해도 결코 찬성할 수 없는 일이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일에 일본도 다르지 않았다. 30여 년 전 구소련이 일본 홋카이도 섬 근처 동해에 수백 톤의 저준위 핵 폐수를 투기하려 할 때 외교분쟁까지 일으키며 반대했던 일본이다. 구소련은 국제원자력기구 기준보다 낮다며 핵 폐수를 방류하려 했지만 결국 1993년 핵 폐수를 중단했던 사실을 일본 정부는 반드시 상기해야 할 것이다.

코로나19로 전 세계가 죽음과 맞서는 현실에서 안전이 담보되지 않은 방사능 오염수의 해양방출은 또 다른 재앙을 불러올 가능성이 농후하다. 우리 정부도 국제 사회와 공동대응과 공조를 강화함으로써 오염수라는 2차 원전사고의 피해를 차단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