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미양요의 영웅 어재연·재순 형제의 묘소를 찾아서
신미양요의 영웅 어재연·재순 형제의 묘소를 찾아서
  • 김명철 청주 봉명고 교장
  • 승인 2021.02.22 19: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북 역사기행
김명철 청주 봉명고 교장
김명철 청주 봉명고 교장

 

1866년 제너럴 셔먼호 사건이 일어난 후 미국 정부는 이를 문책하는 동시에 강제로 통상조약을 맺기 위해 북경 주재 미국공사 로(F. Law)에게 훈령하여 미국의 아시아 함대를 출동케 했다. 로 공사는 아시아 함대 사령관 로저스(J. Rodgers)와 함께 기함 콜로라도호 등 5척의 군함에 병력 1,230명을 이끌고 1871년 4월 3일 남양(南陽) 앞바다에 도착, 조선정부에 통상을 요구했으나 즉시 거절당했다. 그럼에도 미국의 한 지대는 소함정 4척을 이끌고 강화해협을 측량하기 위해 강화부의 관문인 손돌목을 지나 광성진(廣城鎭) 앞으로 들어섰다. 이에 강화수병이 맹렬한 포격을 퍼붓자 피차간에 치열한 포격전이 벌어졌다.
미군은 초지진(草芝鎭)에 상륙해 포대를 점령한 다음, 다시 북진하여 광성진을 공격했다. 백병전까지 포함되었던 이 싸움은 대단히 치열해 아군은 중군(中軍) 어재연(魚在淵) 등 53명이 전사하고, 미군 측도 매키(McKee) 해군중위 이하 3명이 전사, 10여 명이 부상당했다. 다음날에는 첨사(僉使) 이염(李濂)이 초지진을 야습하여 미군 선박을 물리치자, 미국 측도 이 이상의 공격이 무모함을 깨닫고 5월 16일(양력 7월 3일) 40여 일 만에 불법으로 침입한 우리 해역에서 물러갔다. 이 결과 대원군은 일본과 중국이 항복한 미국을 물리쳤다는 자신감으로 서양세력을 배척하는 정책을 강화하여 온 나라 안에 척화비를 세우는 등 쇄국정책을 한층 굳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강화도의 광성보는 신미양요 당시 가장 격렬했던 격전지로써 1871년 4월 24일 미국의 로저스가 통상을 요구하면서 함대를 이끌고 1,230명의 병력으로 침공했던 곳이다. 미국의 상륙부대가 초지진, 덕진진을 점령한 후 광성보를 공격하자 조선의 수군들은 미군들과 치열한 백병전을 전개했다. 당시 조선군 지휘관 어재연 장군의 지휘하에 모든 군사들이 총탄이 없으면 칼과 창으로 싸우고 칼과 창이 부러지면 돌과 맨주먹으로 싸워 한 사람도 물러서지 않고 53명의 모든 군인이 장렬히 순국하였다고 한다.
이 전투 후 성책과 문루가 파괴되어 폐허가 되었던 것을 1977년 안해루, 광성돈, 손돌목돈, 용두돈과 전사한 무명용사들의 묘를 만들게 되었다. 그리고 어재연 장군의 얼이 깃든 쌍충비각 등이 모두 보수 정화되었으며, 이때 세운 `강화 전적지 정화기념비'가 용두돈대 위에 서 있다.
이 전투의 두 영웅인 어재연, 재순 형제는 음성에서 가까운 이천시 율면 산성리에 생가가 있는데 당시 형인 어재연은 강화 유수부 병영인 진무영 중군이라는 직책이었다. 그런데 동생인 어재순은 형을 따라 자진해서 전투에 참전하였다가 함께 순절한 것이다.
함종어씨 문중에서는 신미양요의 영웅인 어재연과 어재순 형제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고향인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성본리 어병산의 산 능선 정상부에 두 분의 묘가 봉분이 나란히 있다. 묘소 앞 석물로는 혼유석과 상석을 각각 갖추고 있으나 촛대석과 무인석 등은 1조만 만들어 두 형제의 나라를 사랑하는 한결같은 뜻을 함께 기리고 있다. 묘소 아래에는 재실인 쌍충재가 맞배지붕 목조기와집으로 건립되어 있고 쌍충재 아래 서남쪽 산 끝자락에 1983년에 두 형제의 신도비 2기를 세워 충절을 기리고 있다.
코로나19로 지친 몸과 마음을 거리두기와 방콕(?)으로 피하는 것만이 상책은 아닐 것이다. 오히려 치열한 삶을 살다가 장렬하게 산화한 두 분 형제의 묘역을 찾아가면 이 어려운 상황을 이길 수 있는 비책이라도 알려주실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