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농악, 재도약 계기 마련해야
청주농악, 재도약 계기 마련해야
  • 연지민 기자
  • 승인 2020.12.21 18: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청논단
연지민 부국장
연지민 부국장

 

코로나19가 세계를 위협하는 일상 속에서도 한류의 기세는 거세다. 방탄소년단이 국악을 접목한 노래 `아이돌'을 선보인 이후 이날치 밴드가 인기를 끌며 국악퓨전팀으로 한국을 알리는 홍보대사로 떠올랐다.

이 같은 국악 열풍에는 3년 전 국악퓨전팀인 `씽씽밴드'가 외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한국적인 문화 DNA가 세계에서도 통한다는 것을 증명한 바 있다. 씽씽밴드는 이후 솔로 활동으로 전향했지만, 세계에 국악 한류의 물길을 트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국악이 한류의 새로운 축을 만들어갈 수 있었던 것은 어디서도 듣지 못한 소리와 퍼포먼스였다. 이는 국악에 기반을 두고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소리로 무장한 국악인들의 창의적 실험과 도전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지구촌시대에 살아남으려면 새롭지 않으면 성공하기 어렵다는 이야기다.

청주농악보존회가 21일 `청주농악의 전승과 과제'라는 주제로 학술세미나를 개최했다. 청주농악이 전승되고 보존되려면 무엇이 시급한지를 진단해보는 자리였다. 특히 세계에서 국악이 새로운 음악으로 인정받는 시기에 청주농악의 문제를 짚어보는 세미나는 전승과 보존, 그리고 청주농악의 미래까지 포함한 논의라는 점에서 의미를 더했다.

청주농악은 시민들이 아는 것보다 뿌리가 깊다. 두레, 백중과 같은 날에 연희적 농사풀이 굿으로 사용된 청주농악은 100년 역사로 기록될 만큼 오래된 청주의 문화다. 연구에 따르면 일제강점기 당시 지동마을 농악대가 청주 쇠전거리에서 농악을 치면서 사람을 모아 3.1만세운동이 이루어졌다는 보고도 있다.

의식 있는 예술 활동은 이후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수많은 상을 받았고, 1992년에는 충북무형문화재 1호로 지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그렇게 청주농악이 충북의 무형문화재 1호로 지정된 지 30년이 가까워지고 있지만, 작금의 현실은 갈 길이 멀다. 이종환 예능보유자가 5년 전 작고하면서 구심점을 잃고 흔들리고 있고, 8년째 이수자를 배출하지 못하면서 전승에도 위기감을 안겨주고 있다. 더구나 코로나19로 공연이 중단되다시피 하면서 청주농악이 환골탈태해야 한다는 인식의 전환도 가져오고 있다.

결국, 내적 성장과 외적 성장이 조화롭게 진행되어야만 청주농악도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이다. 이런 배경에는 예능보유자 지정에 따른 내부 갈등 외에도 폐쇄적인 운영방식과 남성 영역에 머무는 보수적인 운영에 따른 여성 이수자의 전무한 상황 역시 청주농악이 위축되는 원인이었다는 지적이다. 기득권을 과감하게 버리고 개방적으로 운영할 때 청주농악도 재도약할 수 있다는 조언이다.

자치단체의 역할도 중요하다. 무엇보다 자치단체의 관심이 충북만의 문화를 빛나게 할 수 있는 키를 쥐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충북무형문화재 1호라는 역사성에도 청주농악은 전수관이 없다. 대부분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농악이 전수관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전수관이 없다는 것은 관심이 없다는 방증이다.

일부 타 자치단체에서 지역의 무형문화재를 보존하려고 조례를 제정해 향토문화재로 지정하는 것과 비교한다면 충북은 지방무형문화재에 대한 전승이나 보존 조치가 미흡하다. 물론 예능보유자 지정에 따른 잡음이 복잡하게 얽히면서 시민이나 자치단체가 외면하게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지역문화는 지역에서 지켜야 한다는 사실이다. 지역성이 우리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일임을 잊어선 안 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