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정, 경제정책 전무 … 서민생활 황폐화
미군정, 경제정책 전무 … 서민생활 황폐화
  • 엄경철 기자
  • 승인 2020.10.15 19: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획시리즈/ 충북경제 100년사-소금배에서 KTX까지
⑨해방이후-경제혼란기
식민경제체제 붕괴 … 원자재 공급원 북한과도 분리
산업 크게 위축 … 충북지역 실업자 5만5천명 달해
쌀값 등 서민물가 급등 … 미곡소매 최고가격 통제
전기요금도 껑충 … 지역별 석탄 배급량 할당 시행
단양 시멘트공장·충주발전소 건설 등 해법 모색도
해방전후 충북지역의 쌀을 판매하던 모습. /충북도 제공
해방전후 충북지역의 쌀을 판매하던 모습. /충북도 제공

 

해방 후 식민경제체제가 붕괴하면서 남한경제는 큰 혼란에 빠졌다. 원자재 공급지였던 북한과 분리되면서 산업이 위축됐고, 쌀값, 연료비 등 물가가 상승했다. 이처럼 원료와 자재 공급이 원활치 않았던 탓에 산업 위축에 따른 실업난이 사회문제로 대두됐다.

미군정의 정책은 기아와 질병 방지, 치안 유지 등 현상유지 수준이었다. 경제정책의 경우 무계획적이었다. 남한경제는 미국의 경제원조에 의존했지만 혼란기를 쉽게 벗어나지 못했다.

충북경제사정도 어려웠다.

충북연구원의 `해방과 한국전쟁기 충북경제 자료집'에 의하면 1948년에 시행된 노동실지조사 결과 충북의 사업체 수는 총 215개, 노동자는 남성 5710명, 여성 1459명이었다.

미군정기간 연평균 노동쟁의 81건이었다. 해방 이후 산업이 크게 위축되면서 노동현장의 분쟁도 잦았다. 당시 충북의 실업자는 5만5000여명이었다.

동아일보(1946년 7월19일)는 “(생략)군정청상무부 노동국에 집계된 38도 이남 8도의 실업자 총수는 839,883명이라는 놀라운 숫자에 달하고 있다. 도별로 경상도가 제일 많아 경북이 약 30만, 경남이 약 16만이다. 충북 5만5천여명, 충남 4만6천여명이다. 등록되지 않은 실업자가 상당수에 달하는 형편이므로 조국 재건 도상에 있는 현단계에 있어서 이 실업군을 생산증강 방면에서 동원시키도록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보도했다.

쌀값, 전기요금 등 서민물가가 오르자 미군정이 물가안정에 나서기도 했다. 신문들은 충북지역의 식량수집 상황, 정부 정책 등을 주로 다뤄 당시 남한의 식량사정이 어려움을 보여줬다.

서울신문(1945년 12월 20일)은 “군정청에서는 미곡소매 최고가격의 통제를 시행하게 되었다. 이 가격통제는 1946년 1월 1일부터 실시하며 만약 군정청 지시가격 이상으로 파는 위반자는 처벌을 당하게 된다”며 급등하는 쌀값을 통제하기 위한 군정청의 발표를 보도했다.

당시 발표된 미곡 소매가격표에 따르면 1석(石:말)은 충북 740원으로 충남, 전남, 경북이 같았고, 경기, 강원, 경남이 750원, 전북이 730원이었다. 5승(升: 되)은 충북이 37원으로 충남, 전남, 전북, 경북이 같았고, 경기, 강원, 경남이 38원이었다.

정부는 식량 자급자족을 위한 식량증산에 나섰다. 미곡, 면화 등의 수집을 통해 물가안정을 도모하기도 했다. 하지만 정부의 대책 추진에 대한 지역민들의 불신 등으로 경제현장은 녹록지 않았다. 당시 대한식량공사 충북지사는 지역민들이 비료, 전기 등 보상물자의 조달에 의구심을 가지고 있어 미곡매상이 비협조적이고 양곡매도를 방해한다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식량난 해소를 위해 미국에서 수입된 밀을 각 지역에 보급하기도 했다.

동아일보(1946년 10월13일)는 “곡창 조선의 쌀 부족에 대비하여 또다시 미국에서 밀이 들어온다. 오는 20일경 제물포항구에는 대형선 3척에 밀 2만4천톤이 들어와 추곡을 배급할 때까지의 식량을 보급할 것이라고 한다. (생략)식량행정처에서 충북은 950톤을 할당했다. 경기도가 1만3620톤으로 가장 많이 할당됐다”고 보도했다.

전기요금도 크게 올랐다.

경향신문(1948년 1월24일)은 “1945년 7월 1일 현재 기본요금에 6배를 가산하기로 되었는데 그 계산에 의하면 현재 요금의 5.5배가량 된다”고 보도했다.

정부는 연료난 해소를 위해 지역별로 석탄 배급량을 할당하고 벌채허가를 통제했다.

이밖에 당시 위축된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도 있었다. 신문들은 단양에서 새로운 석탄광맥을 발견했다거나 석탄생산실적 관련 기사 가운데 단양탄광의 계획과 실적량이 소개됐다. 정부는 단양지역에 대규모 시멘트공장과 충주발전소 건설을 추진했다.

해방 직후 심각한 경제난 타개를 위한 산업 육성에 나선 정부가 충북에서 해법을 찾고 있었다.

/엄경철 선임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