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자연재해 안전지대 아니다
충북, 자연재해 안전지대 아니다
  • 연지민 기자
  • 승인 2020.08.10 20: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청논단
연지민 부국장
연지민 부국장

 

코로나19에 이어 집중호우가 세계를 강타하면서 재난과 안전 문제가 다시 부각되고 있다. 사상 유례없는 바이러스 감염병이 전 세계를 얼어붙게 하더니, 아시아 지역에 폭우까지 겹치면서 이중고, 삼중고를 안겨주고 있다.

코로나19 방역에 잘 대처했던 한국이지만 천재지변인 폭우는 피해가지 못했다. 그 어느 때보다 긴 장마와 태풍으로 전국이 물바다가 되었고, 사상 최악의 수해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올해 집중폭우로 전국에서는 현재 30명이 넘는 사망자를 냈고, 주택침수로 7000명에 가까운 이재민이 발생했다. 곳곳에서 산이 무너져 내리고, 다리가 무너지고, 길이 끊기면서 정부는 피해가 심한 지자체를 대상으로 특별재난지역을 선포했다.

내륙지방인 충북도 수해로 비상사태다. 2년 전 집중호우로 물난리를 겪으며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됐던 충북의 지자체는 올해 다시 폭우 피해가 이어지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중에서도 큰 피해를 당한 충주시와 제천시, 음성군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됐고, 진천과 단양, 보은, 옥천, 영동 지역도 폭우 피해가 보고되면서 특별재난지역에 포함시키는 논의가 진행 중이다. 장마가 끝나기도 전에 재난지역으로 선포될 만큼 일상생활이 위기에 처했다.

이처럼 집 잃고 삶터를 잃은 국민이 망연자실하고 있는데 정치권에서는 엉뚱한 논쟁이 벌어졌다. 4대 강 사업이 홍수예방에 효과가 있느냐 없느냐, 태양광산업이 산사태를 불러왔느냐, 아니냐를 두고 날을 세우고 있다.

이는 수해의 참담함을 극복하려고 대책을 모색하는 것이 아니라, 전 정부와 현 정부의 정책을 비교하며 실정을 부각시키려는 의도에 지나지 않는다. 정당을 떠나 모두 합심해서 국가적 난관을 벗어나려는 노력이 필요할 때이지만 탁상공론으로 일관하는 정치권은 뉴스로 접하기도 민망할 정도다.

수해의 악몽이 트라우마처럼 찾아와 밤잠을 설친다는 시민들과는 달리, 위기 앞에서도 권력의 유·불리에 따라 움직이는 수준 낮은 정치를 언제까지 지켜봐야 할지 답답할 뿐이다.

지구의 위기는 다른 나라의 일이 아니다. 기후변화로 말미암은 자연재해는 이제 우리의 안방까지 밀고 들어왔다. 충북 지역에 자연재해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내륙도 자연재해의 안전지대라고 장담할 수 없게 됐다. 장마철에 겹친 태풍이라고 단순히 넘길 상황이 아니다.

실제 환경부가 발표한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20'에 따르면 최근 30년간 우리나라는 홍수와 가뭄의 빈도나 강도가 매우 증가했다. 지역적 편차가 있지만 극심한 강우 발생과 극심한 가뭄 현상도 늘어나는 추세다.

그런가 하면 미래를 예측하는 방식에서도 홍수와 가뭄의 발생 빈도나 크기가 더 증가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특히 한반도의 기후변화 현상은 전 지구적 변화 속도에 비해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이를 이해하고 대응하는 방식의 정책 수립을 강조하고 있다. 대응이 늦을수록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는 더 커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경고다.

모든 재해로부터 안전하려면 튼튼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번 집중호우를 계기로 정부는 물론, 지자체에서도 자연재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정책수립과 대응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지역의 유형과 현황을 고려한 적응대책과 하나의 공동체로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안전은 수백 번 강조해도 부족하다. 안전한 삶터 만들기에 지자체가 앞장서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