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이 피기까지
꽃이 피기까지
  • 이재정 수필가
  • 승인 2020.07.27 20: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生의 한가운데
이재정 수필가
이재정 수필가

 

“나는 죽었다”마지막 인사도 영화 같다. 영화음악의 거장 엔니오 모리코네가 남긴 셀프부고다. 일종의 유언 성격으로 삶을 함께한 가족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표현했다. 지인에게도 정 깊은 작별인사의 내용을 담았다. 그는 자신의 장례를 가족장으로 조촐하게 치르고 싶다며 내가 얼마나 당신들을 사랑했는지 기억해달라고 고별을 고했다.

그는 500편이 넘는 영화음악을 만든 20세기 최고의 음악가이다. 영화를 많이 보지도 알지도 못하는, 음악에 대해 문외한인 나도 미션이나 황야의 무법자는 여러 번 들어보았다. 내가 알 정도니 말할 나위가 없다. 모르는 이들이 드물 정도의 대단한 음악가인 셈이다. 그가 낙상으로 대퇴부 골절상을 입어 치료를 받아오다 며칠 전에 숨을 거두었다고 한다.

이렇게 미리 유언장을 작성하는 것은 웰다잉을 위한 정리에 속한다. 종활(終活)은 일본어로 슈카쓰로 우리보다 먼저 고령화가 진행된 일본사회의 신조어다. 인생의 마지막을 맞이하기 위한 다양한 준비활동이라는 뜻이다. 장례 및 묘지준비, 유언, 상속절차와 더불어 최근에는 은퇴 후 자산운용도 포함이 된다. 엔딩산업 또는 죽음산업이라 하여 이 시장이 점점 커져가는 추세다.

경남 창원의 국도변에 대나무가 꽃을 피웠다. 씨앗이 아닌 땅속의 뿌리로 번식하는데 꽃이 핀 것은 매우 드문 일이다. 대나무 꽃은 신비롭고 희귀해 국가에 좋은 일이 있을 징조로 알려져 있다. 개화의 원인은 밝혀진 사실이 없다. 60~120년 만에 핀다는 주기설이 있을 뿐이다. 또 특정한 영양분이 소진돼 발생한다는 설도 있다.

대나무는 꽃이 피기까지 혼신의 힘을 다한다. 하나가 시작하면 주위의 모든 대나무가 번지듯이 한꺼번에 꽃을 피운다. 꽃이 피기 시작하면 기존에 자라고 있던 줄기와 뿌리가 완전히 죽게 된다. 그리고는 모두 죽어 버린다. 이처럼 개화를 끝낸 나무가 말라죽는 현상은 개화병(開花病)이라 불린다. 뿌리에 숨은 눈이 자라서 다시 전과 같이 숲으로 회복하는데 10여년이 걸린다고 한다.

이 병은 어쩌면 살려는 열망에서 비롯된 것인지도 모른다. 군락을 형성하는 대나무가 한곳에서 오랫동안 번식하게 되면 영양분이 모자라게 될 때가 온다. 거기에 죽순은 하루에 1미터도 넘게 자라느라 얼마나 많은 양이 필요할 것인가. 더 이상 죽순으로 번식하는 게 불가능해지면 꽃을 피우기 위해 안간힘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죽순 대신 번식하기 위한 방법으로 씨앗을 선택하지 않았을까 싶다.

대나무는 꽃이 피기까지 급하게, 바쁘게 산 일생이었다. 자고 나면 쭉 키가 자랐다. 생장이 빨라서 미처 속을 채울 시간도 없었다. 길디긴 길이를 버티려니 단단해야 해서 중간 중간 매듭을 만들었다. 꽃은 어긋버긋 피지 않는다. 일제히 한껏 벙근다.

이 모습에서 종활(終活)을 느낀다. 나무는 더 이상 버틸 여력이 없음을 자신이 감지했을 게다. 곧 닥칠 죽음을 예견하고 시들시들 말라가기보다 피어나며 유언을 전하고 있는듯하다. 100년을 보여준 곧은 모습과 기개를 잊지 말라는 나무의 유서다. 꽃으로 기쁨을 주어 사람들의 기억에 오래 남고 싶었던 건 아닐까.

한 생을 사르고 댓잎이 스러진다. “나는 죽었다”모리코네의 유서가 대나무의 부고로 날아든다. 끝맺음도 의연하다. 휴면을 위한 절규하듯, 열규하듯 꽃을 피우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