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정책 포스트 코로나로 전환해야
귀농·귀촌 정책 포스트 코로나로 전환해야
  • 연지민 기자
  • 승인 2020.06.29 20: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청논단
연지민 부국장
연지민 부국장

 

도시의 삶에 지친 사람들이 귀농을 하거나 귀촌하는 일이 유행처럼 번진 적이 있다. 텅 비어가는 농촌을 살리고 새로운 인생을 설계하는 사람들을 위해 농촌으로 귀의하도록 다양한 정책을 펼친 덕분이었다.

실제 정부의 이러한 정책은 어느 정도 효과를 보았다. 퇴직 후 인생 2막을 귀농·귀촌하려는 사람이 늘었고, 일부 젊은 층에서도 도시를 뒤로하고 시골 마을로 이주해 뿌리내리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통계청이 지난 26일 발표한 `2019년 기준 귀농어·귀촌인통계'에 따르면 귀농귀촌 가구가 3년째 줄고 있다. 전국적으로 보면 지난해 귀농가구는 1만1422가구였고, 귀촌 가구는 2만3066가구로 평균 6%가량 줄어들었다.

충북도 마찬가지다. 2018년 충북의 귀농가구는 총 915가구에서 2019년에는 841가구로 전년대비 74가구가 줄었고, 귀촌 가구 역시 2018년에는 2만4168가구에서 2019년도에는 2만3066가구로 전년대비 1102가구가 줄었다.

이처럼 귀농·귀촌 가구가 전국적으로 줄고 있다는 것은 정부의 정책이 실패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그러나 뒤집어보면 정부의 정책이 실패할 수밖에 없는 자료로도 볼 수 있다. 그 중 하나가 귀농가구 72.4%가 1인 가구였고, 귀촌가구 74.1%가 1인 가구였다는 점이다.

또 귀농가구가 68.9%가 50대 이상 남자였고, 귀촌가구도 61.3%가 40대 남자였다는 점도 소도시에 정착하지 못하고 다시 보따리를 쌀 수밖에 없는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지금까지 추진해왔던 귀농·귀촌 정책의 방향이 수정되거나 개선될 필요성이 제기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문제는 코로나19로 급변하는 사회가 새로운 귀농·귀촌인구를 가져올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도시에 몰려 있던 사람들이 도시 외곽으로 이주할 가능성이 그 어느 때 보다도 높아지면서 다시 소도시가 주목을 받고 있다. 어제와 오늘이 코로나로 구분되고 있음이다.

실제 일본에서는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도시 외곽으로 이주하는 인구가 늘고 있다는 소식이다. 재택근무 시스템이 가능해지면서 젊은층을 시작으로 지방으로 유턴하는 직장인들이 늘고 있다.

일본상공회의소에 따르면 현재 일본 내 기업 10곳 중 6곳 이상은 재택근무를 도입하고 있다. 근무환경이 인터넷으로 가능해지면서 굳이 비싼 임대료를 내고 사무실을 사용하지 않아도 기업 운영에는 지장이 없기 때문이다.

직장인들 역시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두려움과 자녀들의 안전한 육아환경을 위해 탈도시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코로나19가 가져온 개인들의 라이프 사이클은 일과 삶의 균형 찾기로 변해가는 모습이다.

이는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코로나19로 몇 달간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면서 답답한 도시를 벗어나길 희망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는 소도시가 새로운 거주지로 각광을 받을 소지가 많다는 것이다.

결국 우리 정부가 견지해온 귀농·귀촌 정책을 코로나19에 대응하는 차원에서라도 확대하는 기회로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 도시에 인구 쏠림현상도 막고 코로나 위기에 맞는 방향키를 잡는다면 인구 분산 정책도 실효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분명 새로운 정책에는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도 있다. 그동안 귀농·귀촌을 경험한 사람들은 그 이유를 직업과 주택, 가족 순으로 꼽았다. 양질의 일자리가 필요하고, 안정적인 주택공급과 가족이 함께할 수 있는 교육 의료 기반시설이 갖춰져야 한다는 것이다. 일시적인 정책만으로는 귀농귀촌 정책은 성공할 수 없다. 저녁이 있는 삶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정책을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