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과 대학 공생인가? 상생인가?
지역과 대학 공생인가? 상생인가?
  • 김금란 기자
  • 승인 2020.06.03 20: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데스크의 주장
김금란 부국장
김금란 부국장

 

위기가 곧 기회라고 했다.

말은 쉽다.

위기는 기회일까? 아님 쇠락의 지름길일까?

입학자원 감소로 지역은 소멸 위기에 몰렸다. 물론 대학도 입학 자원이 없어 위기에 직면하기는 마찬가지다.

요즘 영동군과 유원대학교 간 갈등이 심각하다. 생존 싸움이다.

발단은 유원대가 2021학년도 영동 본교 정원 140명을 감축해 충남 아산캠퍼스에 그만큼 증원하겠다는 구조조정안을 대학교육협의회에 제출했기 때문이다. 정원 조정안대로라면 유원대 2021학년도 본교 정원은 460명(2016년 890명), 아산캠퍼스 415명(〃 190명)으로 비슷해진다.

군은 대학이 존재해야 지역이 살 수 있다는 생각에 2016년 대학과의 상생협약을 맺고 최근 5년간 유원대에 통학버스 운영비, 교내 기숙사 건립 등 33억5900여만 원, 연계사업 13억9000여만원 등 막대한 재원을 지원했다.

군과 달리 대학의 생존 전략은 영동을 떠나야 살 수 있다고 말한다.

유원대 관계자가 인터뷰한 내용을 보면 “지방대 대부분은 학생 재학률이 90%를 넘지만 유원대는 최근 5년 평균 81%를 기록해 전국 꼴찌 수준”이라며 “시골에 위치한 본교 특성상 신입생 모집이 어렵기 때문에 정원을 감축하고 신입생 모집이 수월한 아산 캠퍼스의 정원을 늘릴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지역이 살아야 대학이 살까? 아님 대학이 살아야 지역이 살까?

명확한 것은 대학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이다.

한국개발연구원에서 발간한 정책연구 보고서 `대학교 캠퍼스가 지역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이종관)에 따르면 공주대 천안캠퍼스, 중원대 등 2002년 이후 설립한 신규대학(캠퍼스) 9곳을 대상으로 규모 등이 비슷한 대조군 지역과 비교했을 때 노동시장과 지가가 상승했다.

공주대 천안캠퍼스와 중원대의 경우 지가 상승률은 5~10%p 정도였다. 총고용은 대학 설립 2기간 이후(6년 후) 17.3% 증가했다. 3기간 이후(9년 후)에는 효과가 감소했지만 대조군과 비교할 때 13.5% 정도 높은 고용을 보인다. 제조업의 경우 3기간 이후(9년 후) 21.5%의 효과를 보이고, 서비스업의 경우 11.9% 상승했다. 보고서는 지방에 위치한 연구 수준이 높지 않은 작은 대학일지라도 신규로 대학 캠퍼스가 생기고 비교적 교육 수준이 높은 대학생들이 지역으로 유입되면 지역환경(local amenities)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고 강조한다.

내년도 입학 자원은 53만3941명이다. 반면 대입 정원은 55만659명으로 입학자원이 1만6718명 부족하다. 충청권의 정원 충족률은 수도권(133.6%)을 제외한 6개 권역 중 가장 낮은 59.1%에 불과했다. 충청권 대학의 대입정원은 9만2700여명인데 비해 입학 자원은 3만7907명 적다. 결국 충북을 떠나 다른 지역을 가도 대학의 위기는 벗어날 수 없다는 얘기다.

입학 자원이 줄면서 지방 대학들은 학교명을 바꾸고, 학과를 통폐합하고, 캠퍼스 이전 등의 방식으로 위기를 극복하려 애쓴다.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체질 개선은 뒷전이다.

대학의 역할은 학생들이 내는 등록금으로 교직원 월급을 충당하는 게 전부가 아니다. 인재를 배출해 지역 산업 시장에 노동의 공급과 수요에 영향을 미쳐야 한다. 인재는 뽑는 게 아니라 길러내야 한다. 석학을 영입하거나 특화를 위한 투자는 소극적이면서 시골이라서 학생 모집이 힘들다는 것은 자기변명에 불과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