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개비와 전기
바람개비와 전기
  • 이창수 시인
  • 승인 2020.06.02 2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고
이창수 시인
이창수 시인

 

농촌에 살다 보니 쥐와 참새는 어쩔 수 없이 식구로 받아들여야 하지만 화단과 텃밭 일구고 돌아다니는 두더지는 그냥 두고 봐줄 수가 없다.

묘목이나 꽃 묘를 심고 한 두어 자 높여 차광막을 쳐주고 매일 주변까지 물주며 정성을 다해도 이놈이 한번 휘젓고 지나가면 살려내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누가 페트병으로 바람개비를 만들어 세우라고 권한다. 덜그럭 덕덕하며 돌아가는 요란한 소리가 기둥을 따라 들어가 땅속이 시끄러워서 두더지가 견디지 못해 떠나고, 고라니도 접근하지 않는단다.

처음에 3개를 만들어 세웠더니 신통하게도 두더지가 다음 날부터 안 온다. 부서지거나 큰 바람에 날아가면 다시 만들어 세우고 해서 1개를 유지했다. 문제는 센바람이 불면 페트병 자체가 헬리콥터 팔랑개비 모양 날아올라서 멀리 도망가는 것이다. 처음에는 꽤 시끄러웠지만, 이제는 그 덜그럭 덕덕하는 소리가 음악으로 들릴 정도니 소리에도 정이 드는가보다.

바람개비를 만들려면 가는 철 파이프를 기둥으로 세우고 반생 굵기의 철사를 구부려 바람개비 심보로 쓰고, 6각 페트병 각의 홈을 따라 잘라 라이터 불로 살살 지져 약간 비틀어 날개를 만든다. 이때 주의할 점은 페트병이 하도 얇아서 쉽게 녹고 녹으면 바짝 오그라들어 못쓰게 되니 이 작업 할 때는 물 젖은 면장갑과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병뚜껑 복판과 병 밑바닥 복판에 드릴로 구멍을 뚫고 심보를 페트병에 꿰면 일단 바람개비가 된다. 병뚜껑이 밖이 되고 병 밑바탕이 기둥 쪽이 된다. 뚜껑 쪽 심보에 함석지붕용 스펀지 못에 끼우고 고무밴드로 단단히 감아두면 밀려나지 않는다.

병 뒤쪽 심보는 바람개비와 파이프 사이에 여유를 두고 직각으로 구부려 7~80㎝ 정도 길게 파이프 기둥 속으로 꽂아주면 바람개비는 바람이 가는 방향으로 얼굴을 돌려가며 돌아가기 때문에 풍향계 역할도 같이 한다.

언제부턴가 이 바람개비에 초소형 발전기를 붙여주면 아주 적은 양 이라도 발전할 수 있다 싶어 `초보자를 위한 전기기초 입문'이라는 책을 사왔다.

책에 `전기의 역사'목차를 보고 깜짝 놀랐다. 정전기의 발견 시기가 `서양'은 기원전 600년이고 `중국'은 기원전 2500년경 천연자석에 대한 지식이 있었던 것 같다고 했고, `여씨춘추'에서는 `자침이 방위를 찾는데 사용됐다'고 했다.

`여씨춘추'는 진(秦)나라의 재상 여불위(BC 235)가 선진시대의 여러 학설과 사실·설화를 모아 편찬한 책이다. 여기에는 나침판에 관한 항해술 이야기로 `기원전 1,000년경 짚을 잘라 물에 띄우고 그 위에 자침을 얹어 방위를 찾았다.' 하는 큰 바다에서 자침을 이용한 항해 기술을 적어놓았다. 이보다 앞선 책 `대변경(大辨經)' 기록을 보면 전기의 발견 시기는 이보다도 더 훨씬 앞서 있을 것이라고 하니 참으로 놀라울 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