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 탄력성과 보수
회복 탄력성과 보수
  • 김현기 여가문화연구소장·박사
  • 승인 2020.04.26 20: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행복을 여는 창
김현기 여가문화연구소장·박사
김현기 여가문화연구소장·박사

 

삶은 시련과 역경의 연속이다. 어려움이 없다면 성장도 없다. 문제는 역경이 아니라 그것을 대하는 태도다. 행복과 불행은 태도에 달려 있다. `태도'는 어떤 일이나 상황에 직면했을 때 가지는 입장이나 자세다. 행복과 불행은 삶에서 만나는 역경에 대한 자기 뜻과 자세에 따라 결정된다.

역경을 만날 때 두 가지를 태도를 보인다. 하나는 부서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튀어 오르는 것이다. 부서지는 것은 굴복하는 것이고, 튀어 오르는 것은 더 높이 올라가는 것이다. 튀어 오르는 이 힘을 `회복 탄력성'이라 부른다. 몸의 힘이 몸의 근육에서 나오듯 마음의 힘은 마음의 근육에서 나온다. 마음의 근육이 단단할수록 어려움과 역경을 견디는 회복 탄력성이 강해진다. 몸의 근육은 운동의 고된 과정을 통해 강해진다. 마음의 근육인 회복 탄력성은 어려움과 역경을 견디면서 단단해진다. 인류사에 길이 남을 위인들은 역경을 극복하고 위인이 된 것이 아니라 역경 때문에 위대한 업적을 이룬 것이다.

회복 탄력성이 높은 사람은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으면서도 자신의 실수를 민감하게 알아차리는 뇌를 갖고 있다. 실수에서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습관이 있다. 회복 탄력성이 낮은 사람은 실수를 너무나 두려워하지만, 정작 실수에는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한다. 실수를 받아들이기보다는 억누르거나 무시하는 방어기제를 발동한다. 회복 탄력성이 높은 사람은 자기 실수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갖는다. 습관적으로 더 과감하고 도전적이며 새로움을 추구한다.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고 실수에서 배운다.

회복 탄력성을 높이려면 사건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뇌가 필요하다. 무의식 수준에서 경험에 대한 긍정적 스토리텔링이 필요하다. 회복 탄력성은 뇌에 새겨진 긍정 습관이다. 회복 탄력성이 높은 긍정적 뇌는 `자기조절능력'이 뛰어나다. 스스로 감정을 인식하고 조절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자기인식이다. 자기 자신을 정확히 인식하여 문제를 외부가 아닌 내부에서 찾는 것이다. 자기 이해를 기반으로 원인을 분석하고 충동을 통제하며 감정을 조절한다. 이런 뇌를 가진 개인이나 집단은 역경이 올수록 더 높이 튀어 오르는 회복 탄력성 능력을 갖는다.

21대 총선이 끝났다. 결과는 180대 103이다. 진보의 압도적 승리와 보수의 궤멸이라 할만하다. 대통령, 자치단체장, 지방의회 권력 교체에 이은 국회 권력 교체에 대한 뜨거운 국민의 여망이며 매서운 심판이다. 촛불을 들고 차가운 겨울을 빛으로 밝힌 촛불 혁명의 완성이다. 그동안 보여준 보수의 행태를 보면 속이 다 시원하다. 그러나 사회발전을 위해서는 진보와 보수라는 양 날개가 필요하다. 건강한 보수가 있어 진보를 견제하고 대안을 제시해야만 사회가 성숙해진다.

안타까운 것은 보수의 태도다. 선거 패배에 대한 철저한 자기반성과 자기 이해 없이 말도 되지 않는 개표 부정이나 들먹이며 공약조차 외면하는 몰염치가 내재적 문화로 자리 잡은 것이다. 선거 때도 오로지 반문만을 외치며 편향된 보수 언론의 왜곡뉴스만을 확산시켰다. 혁신적 대안은 없고 반대만을 위한 길거리 정치가 난무했다. 선거 패배라는 최대 위기를 맞으면서도 제대로 된 자기인식을 하지 않는다. 작금의 보수는 부정과 남 탓만이 넘쳐난다. 위기와 역경을 딛고 더 단단해지는 보수가 되려면 회복 탄력성을 높여야 한다. 이대로 가면 보수의 미래는 없다. 회복 탄력성을 키워 새로운 보수로 나가려면 먼저 자신들을 돌아보아야 한다. 자신을 철저히 반성하고 잘못을 사과하고 대통령 탓 그만하고 자신의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우리 보수는 이렇게 할 수 있을까? 회의적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