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유발 신경퇴행 억제 기전 규명
치매 유발 신경퇴행 억제 기전 규명
  • 뉴시스 기자
  • 승인 2019.11.18 17: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뇌硏, 국제 학술지 게재 … 치료법 개발 임상 수준 검증 거쳐야

한국뇌연구원(KBRI)은 김형준·이신려 박사와 순천향대 김기영 교수 등이 참여한 국내 연구팀이 치매와 루게릭병 발병과정에서 일어나는 신경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새로운 분자기전을 규명했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오토파지(Autophagy, IF=11.059) 11월호에 게재됐다.

논문명은 TDP-43 단백질병증에서 PTK2에 의한 UPS 저해 기전 조절(PTK2/FAK regulates UPS impairment via SQSTM1/p62 phosphorylation in TARDBP/TDP-43 proteinopathies)이다.

치매나 루게릭병 환자의 신경세포에는 TDP-43 단백질을 포함하는 비정상적인 응집물이 자주 발견되는데 이 응집물이 축적되면 손상된 단백질이나 불필요한 단백질을 제거하는 세포 내 단백질 품질조절시스템(UPS)의 손상을 일으켜 신경 퇴행을 일으킨다.

연구팀은 TDP-43에 의한 신경세포 퇴행을 억제할 수 있는 세 가지 단백질(PTK2, TBK1, SQSTM1)의 역할을 새롭게 발견했다.

또 이들의 상호작용이 UPS 손상 시 세포 내 또 다른 단백질 품질조절시스템인 자가포식 리소좀 경로(ALP)를 강화시켜 신경세포의 퇴행 현상을 억제할 수 있음을 세계 최초로 증명했다.

이번 연구는 다양한 치매와 루게릭병의 요인이었던 TDP-43 단백질에 의한 신경퇴행 증상을 회복시킬 수 있는 새로운 경로의 분자기전을 밝혀냈다.

이에 앞으로 치매환자의 신경세포 내 축적된 비정상 단백질을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한국뇌연구원 김형준 책임연구원은 “연구결과는 기초연구 수준에서의 기전을 증명해낸 것으로 치료법 개발을 위해서는 임상 수준에서 검증 과정이 필수적이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외 뇌은행, 병원과 협력을 통해 실제 환자 조직에서 검증을 위한 연구팀을 구성하고 후속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뇌연구원은 지난 8월 영국 킹스칼리지런던 대학 치매연구센터(UK DRI)와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환자의 혈액 및 뇌조직을 활용한 병인 분석을 위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인체 뇌자원 기반 검증 연구를 강화할 예정이다.

/뉴시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