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전력 부족 해소를 위한 열병합 자가 발전소 건설 절실
충북도 전력 부족 해소를 위한 열병합 자가 발전소 건설 절실
  • 이종구 충북도 투자유치과장
  • 승인 2019.10.01 19: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고
이종구 충북도 투자유치과장
이종구 충북도 투자유치과장

 

충북은 2020년 4% 경제 달성을 위해 2010년부터 투자유치에 역량을 집중했다. 그 결과 3인 이상 제조업체 수는 2018년 말 기준 1만60개로 2010년 6000개에서 매년 400개가 증가하는 기염을 토했다.
일자리를 만들고 경제를 활성화하는 동력은 기업유치다. 최근 지자체들은 앞다투어 파격적 인센티브를 약속하며 기업을 유혹한다. 하지만 정말 기업이 필요로 하는 것은 인센티브가 아닌 인프라 적기 지원이다. 이를 위해 도는 민선 7기 4년내 800만평의 산업단지를 조성하며 인프라 공급을 위해 환경부, 수자원공사, 한전과 적극 협의하고 있지만 계속된 투자유치로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특히 도 전력 자립도는 그중 심각하다.
최근 충북연구원 설영훈 박사는 전국 전력발전량 55만3530GWh(기가와트) 대비 충북은 1294GWh로 0.2%, 전력소비량 50만7746GWh 대비 충북 2만4842GWh로 4.9%라고 발표했다. 또한 전국 전력자립도가 109.2%인데 반해 도는 서울, 대전에 이어 최저수준으로 인근 30만 도시인 세종시의 104.58%와 비교되지 않는다고 했다. 소비의 대부분은 제조업으로 73.7%이며 우리 도 전력자립도는 5.21%다.
낮은 전력자립도가 뭐가 문제인가? 타지역에서 생산해 소비한다면 환경오염도 없고 좋지 않나라고 반문할지도 모른다. 대부분 전력은 해안지역인 충남, 인천, 부산에서 생산해 내륙으로 송전된다. 대규모 철탑과 선로로 송전하며 이 과정에서 주민 반발, 공기지연으로 인한 비용부담, 전력손실의 문제가 발생한다. 당초 계획대로 변전소를 적기 건설해도 345KV(킬로볼트)의 경우 8년이 소요된다. 적기 전력공급은 참 아득하고 힘든 사정이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는 집단에너지에서 분산형에너지(현지생산-소비)로 전환 중이며,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 자가발전기 보급 확대로 2040년까지 분산형 비중을 30%까지 올린다고 발표했다. 도 발전설비는 전국 대비 0.86%로 대부분 신재생에너지다. 기후변화와 외부환경에 민감하여 전력품질과 안정적 공급이 우려된다. 또한 500MW(메가와트) 전력생산을 위해 태양광 발전은 약 250만평(청주시 복대동 면적의 2배) 부지가 필요하다. 비효율적이다.
도의 전략산업은 반도체, 이차전지 등 최첨단산업으로 많은 전력이 필요하다. 기업유치가 많이 될수록 전력은 증가한다. 위험한 원전과 미세먼지 주범인 화력발전소를 더 지어 공급해야 할까?
최근 최적의 대안으로 천연가스(LNG) 열병합발전이 대두하고 있다. 지난 9월 지역난방공사는 대구·청주사업장에 LNG 열병합발전 추진을 발표했다. 충남 내포신도시 또한 고형폐기물연료(SRF) 발전 대신 500MW급 열병합발전을 선택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승훈교수는‘열병합발전의 미세먼지 저감편익 등 공익적 가치’에서 열병합발전은 전기와 열의 동시 생산으로 대기오염물질 배출의 약 82%를 저감하며, 매우 효과적인 미세먼지 저감수단으로 미국, 유럽 등의 글로벌 메가트랜드라는 것을 강조했다.
전국의 지자체는 기업 유치를 위한 치열한 전쟁을 하고 있다. 승리의 관건은 인프라 확보다. 투자유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은 모두가 힘을 합쳐야 한다. 기업과 주민, 지자체가 상생하고 협력하는 활력이 넘치는 충북을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