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100주년 충북 독립운동전시관 조성부터
3·1운동 100주년 충북 독립운동전시관 조성부터
  • 연지민 기자
  • 승인 2019.08.26 19: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청논단
연지민 부국장
연지민 부국장

 

올해는 3·1운동 및 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이 되는 해다.

일제 강점기에 한국인이 세계를 향해 자주독립을 선언하고, 국가의 주권을 되찾기 위한 국민의 항거였다는 점에서 3·1운동은 우리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처럼 역사적 순간이 1세기를 맞이하면서 연초부터 대한민국 곳곳에선 이를 기념하기 위한 행사가 다채롭게 펼쳐지고 있다.

지자체마다 지역 독립운동을 조명하기 위한 학술대회는 물론 3·1만세운동 재현, 유적지 탐방 등으로 국민적 저항과 광복의 그날을 기리고 있다.

3·1운동 및 임시정부수립 100주년에 대한 대대적인 기념식 거행과 때를 같이하듯 한·일 관계도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

정치적 배경도 요인이지만, 양국 모두 청산하지 못한 역사의 잔재가 시시때때로 갈등의 소지가 되는 것이다.

100년이란 긴 시간이 흘렀지만, 가해국과 피해국인 양국 관계가 쉽게 개선되긴 어렵다. 하지만, 한국민들의 저항 1세기를 맞은 지금, 지나치게 민감하게 대응하는 일본의 극우 정치의 정치적 판단과 진위 파악도 우리가 간과해선 안 될 일이다.

한·일 관계에서 벗어나 국내로 시선을 돌리면 3·1운동이나 임시정부 수립일은 기념행사에 그치는 수준이다.

역사적 사실과 의미, 가치를 발굴하는 데 있어서는 여전히 소극적이고, 여전히 관행적이란 생각이 든다.

경제적으로 가난했던 국가의 위기상황과 더불어 청산하지 못한 역사에 발목 잡혀 앞으로 나아가지 못한 한계를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지역은 더 빈약하다. 기념비 하나 덜렁 세워놓고 기념식 후 만세삼창을 부르는 것으로 그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일제 저항의 역사가 100년이 지났고, 광복의 역사가 74년을 지났어도 독립운동을 기리는 행사는 별반 다르지 않다.

3·1만세운동을 주도한 선각자들이 많은 충북도 예외는 아니다. 당시 도내 전 지역에서 격렬한 만세운동이 가장 늦게까지 발발했음에도 기념비나 공원 조성이 전부다.

조국의 광복을 위해 죽음을 무릅쓰고 싸운 독립유공자나 그 후손들에 대한 정부의 지원은 거론하기조차 부끄러울 정도다.

특히 충북은 여성독립운동가를 발굴하는데 있어 인색하다. 국가보훈처에 충북 출신 여성독립운동가로 기재된 10명을 제외하면 지역에선 여성독립운동가에 대한 조명이나 발굴, 선양사업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나마 올 연말을 즈음해 11명의 도내 여성독립운동가 흉상이 제작돼 충북여성재단 내에 전시관을 조성한다는 소식이다.

한편으로 다행스럽기도 하지만, 독립운동을 남·녀로 구분하는 대결구도 방식으로 비칠까 우려스럽기도 하다.

도에서 전시관 조성을 계획하고 있는 만큼 이번 기회에 여성에 한정하지 말고 지역 전체를 아우르는 전시관으로 확대, 조성해 제대로 된 지역 독립운동사로 조명해야 한다.

경북이나 경기도 등 타 지자체에서는 지역 차원의 기념전시관을 조성해 지역의 정체성과 현장 교육의 장으로 운영하고 있다.

충북도 지역의 역사와 정체성 찾기 일환으로 충북독립운동 전시관 조성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또 학계 전문가들의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지역사를 풍성하게 만드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충북의 3·1운동과 임시정부수립 100주년 기념은 독립운동 전시관 조성부터 시작해야 한다. 남·녀가 대등한 관계 속에서 당당한 역사의 인물로 조명받아야 마땅하다. 그것이 진정한 의미의 독립운동 정신을 계승하는 일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