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불법투기 근절 민·관 함께해야 한다
쓰레기 불법투기 근절 민·관 함께해야 한다
  • 박병찬 칼럼니스트
  • 승인 2019.08.08 19: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병찬의 세상읽기
박병찬 칼럼니스트
박병찬 칼럼니스트

 

인근 도로 모퉁이에 구청 관계자가 현수막을 붙였다.

`쓰레기 해진 후 자기 집 앞에 배출, 불법 투기 시 과태료 부과'요지의 경고성 내용이다.

그런데, 불법 투기는 여전하다.

분리수거 않고 비규격 봉투에 담아 아무 때나 버린다. 그것도 남의 집이나 영업장 앞에 던진다. 내 집 앞은 안 되고 남의 집 앞은 괜찮다는 식이다.

우리 지역민의 일그러진 자화상의 일면이 아닌가 싶다.

주변을 보면 쓰레기 불법 투기 현장을 쉽게 볼 수 있다. 요즘 휴가철 특히 더하다.

건물이나 도로 모퉁이, 공원이나 주택가, 휴양지 등 주변 곳곳이 쓰레기장화 되고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담배 피우며 커피나 음료수 마시며 걷다가 아무 곳에나 버린다. 특히 엉성한 쓰레기 봉지 몇 개라도 쌓인 곳이면 그곳으로 던진다. 문제의식이나 죄의식이 없어 보인다. 그것이 잘못된 행동이란 인식 자체가 없는 듯하다. 바로 잡아 주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깨진 유리창의 법칙이 있다. 사소한 쓰레기라도 불법 투기를 방치하면 종국에는 그곳이 쓰레기장이 된다는 얘기다.

1982년 범죄학자 제임스 윌슨과 조지 켈링이 만든 개념이다. 1980년대 중반 뉴욕시가 빈민굴로 변질하고 있었다. 뉴욕 시 관계당국이 낙서투성이의 길거리와 더러워진 지하철을 방치한 결과다.

1995년 루디 줄리아니 시장이 취임하면서 변화가 시작했다.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정화 작업에 돌입했기 때문이다. 먼저 주요 거점에 CCTV를 설치했다. 낙서한 사람들을 끝까지 추적했다. 범죄도 집중 단속하기 시작했다. 시민들은 관계당국의 강력한 의지를 피부로 느꼈다. 잘못된 행태를 바꾸기 시작했다. 결과는 당연히 쾌적한 살기 좋은 도시로 변하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주위 환경이 더러우면 그곳에 오물을 쉽게 버린다. 깨끗할 때에는 그러지 못한다. 부적절한 행동이 주변 사람들에게 쉽게 보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심리도 마찬가지라고 본다.

청주 육거리시장 내 소로변이나 산남동 주택가 주변 쓰레기 불법 투기 현장을 보면서 해당 구청에 몇 번 전화해 봤다. 그때뿐이다. 일회성 조치로 끝난다. 행정력이 부족하니 알아서 하라는 식의 반응도 있었다. 너무나 안이한 소극적 반응이다.

우리 주변 `쓰레기 불법투기'고질적인 큰 문제다. 민관 모두 심각성을 절감해야 한다. 관계기관단체, 신고받고 청소 한번 하고 현수막 설치 정도로 끝나서는 안 된다. 경고성 현수막을 무시하고, 공권력을 우습게 여기는 풍토가 저변에 넓게 깔려있기 때문이다.

쓰레기나 담배꽁초 등 오물 불법 투기, 노상방뇨 등 사소한 불법 행위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엄단해야 한다. 한두 번 봐주다 보면 면역이 생기고, 그래도 되는 줄 안다. 일관성 있는 근절 대책과 지속적인 단속이 긴요하다. 강력한 의지가 성패를 좌우한다. 뉴욕시를 정화시킨 줄리아니 시장 같은 단체장이 절실할 뿐이다.

필요한 곳에 간이 쓰레기장 및 공용화장실 설치도 병행돼야 한다.

주민들의 동참도 필요하다.

주민 모두는 주인이고 감시자다.

불법 행위를 볼 때마다 고발도 지적도 해야 한다. 그런 풍토가 당연시되는 사회가 돼야 한다. 그래야 우리 주변이 살맛 나는 쾌적한 생활공간으로 변모한다.

/칼럼니스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